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 초개체군과 조경구획에서의 환경 연계성: 비서식지가 중요한 문제인가 ?(Context and connectivity in plant metapopulations and landscape mosaics: does the matrix matter?)

전문가 제언
□ 식물계에 있어, 생장과 확산은 단순히 개체군의 구성과 분포의 문제가 아니라, 식물이 속한 조경의 구성과 배열, 각 지역간의 영향력의 문제임을 밝히고, 초개체군 생태학 모형과 조경생태학 모형의 통합을 추구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 조경지역의 식물 구성원 중 하나인 비서식지는 생물체가 존재하기에 아주 적합한 지역은 아니지만, 초개체군 생태학 모형에서 말하듯 그 의미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 논문에서 밝히듯 여러 가지 이유에서 비서식지는 식물의 생태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우선 식물은 조경지역을 단순히 서식지와 비서식지로 나누어 인지하지 않으며 오히려 비서식지일지라도 그 자원과 환경 속에 유용한 요소가 있다면 충분히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주된 서식지역과 비서식지 그리고 서식지 주위를 둘러싼 회람지역 간의 연계적 관계는 비서식지의 양호도와 다른 구성원들과의 상호관계에 의해 통합적인 기능을 가지게 되고 그러한 결과로 식물의 확산이 매우 달라진다.

□ 회람지역의 중간 매개체적 역할도 있기 때문에 서식지와 비서식지는 아주 분리된 형태의 공간은 아니며 오히려 상호 간에 깊은 영향을 주어 생물종의 발달 혹은 멸종을 불러오는데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 또한, 공간적 구조간의 주변효과는 다른 구조 간에 개체적 혹은 환경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전체적인 개체수의 변화를 불러오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강한 적응력을 가진 생물종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지역간의 특정 종의 점유율에 따라 종의 다양성이 변화하니 이 또한 공간적 구획의 영향임을 알 수 있다.

□ 결론적으로, 생태계를 어떤 확실한 경계를 가지고 분류하여 그 기능과 결과를 정의하기는 어려우며 기능적 구역으로 나뉜 그 사이에서도 각각의 다양한 기능의 조화와 통합으로 식물계의 변천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앞으로는 그러한 기능의 구체적인 증명과 역할변이의 추세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Murphy, HT; Lovett-Doust, J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105(1)
잡지명
OIKO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14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