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반응물질의 주입을 동반하는 경계층에서의 유동구조와 열 및 물질전달(Flow structure and heat and mass transfer in boundary layers with injection of chemically reacting substances)
- 전문가 제언
-
□ 본 문헌은 Russian Foundation for Fundamental Research의 재원으로 이루어진 “연소를 동반하는 경계층에서의 유동구조와 열 및 물질전달에 관한 연구”의 개관을 서술한 것이다. 본 논문은 서론에서 경계층이론의 층류 및 난류연구의 부족함을 지적하였고 나아가서 연소를 동반하는 난류이동에 대하여 깊은 연구가 필요함을 같은 맥락에서 강조하였다.
□ 논문에서는 이론적인 모델로서 확산모델, 적분방정식모델과 그의 점근해적 적분방정식모델, Spalding의 two-fluid모델, Spalding의 k-ε모델을 수정한 미분방정식모델, 난류유동에 따른 화학반응 론에의 영향 등이 다루어졌다.
□ 연소를 동반하는 경계층의 실험적인 고찰을 하였으며, 연소전선을 동반하는 경계층구조의 실험적 고찰, 연소를 동반하는 경계층에서의 열 및 물질전달의 실험적인 고찰, 가속유동에서의 난류연소의 실험적 고찰, 난류유동이 연소를 동반하는 경계층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의 실험적 고찰 등이 다루어 졌다.
□ 전반적으로 짜임새 있고 요령이 있는 설명을 함으로서 연소공학을 전공하는 사람에게 좋은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한다. 단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여야 하겠다.
○ 중점적으로 해설하고 있는 연구내용이 “이론적 모델”과 “실험적 고찰”이 다 같이 러시아 내의 연구내용들이며 서방 각국의 연구내용까지를 포괄적으로는 포함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방면의 연구 또는 공학적 종사자들은 이것을 감안하여 서방 국가들의 연구내용을 일차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층류불꽃의 연구에 있어서는, 층류불꽃의 연소에 의한 영향은 무엇보다도 연소에 따라 밀도의 감소가 일어나며, 이 밀도의 감소가 생성물질에게 부력(Buoyancy)의 영향을 준다는 것을 집필자도 언급은 했으나 층류불꽃의 연구개발을 위해서는 부력상승의 물리적인 현상을 파악할 수 있는 실험이 되어야 하거나, 그런 방향으로 실험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냥 실험적으로 측정만 하는 것으로는 부력에 의한 물리적인 현상을 도출해 낼 수 없을 것이다.
○ 이론 면에서의 층류불꽃에 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요망된다. 아마도 서방국가의 자료에 대한 연구추적이 강도 높게 취급되지 않음으로서 층류불꽃에 대한 연구현황의 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E.P. VOLCHKOV, V.I. TEREKHOV, V.V. TEREKHOV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0(1)
- 잡지명
- COMBUSTION EXPLOSION AND SHOCK WAV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6
- 분석자
- 이*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