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틴에 의한 구강 내 약물전달 (Lectin-mediated drug delivery in the oral cavity)
- 전문가 제언
-
□ 렉틴은 비 면역 글로블린성 단백질이나 glycoprotein으로서 자연에서 식물, 곰팡이, 박테리아, 해조류, 척추동물의 체액 그리고 포유동물의 세포막에서 분리된다. 렉틴은 대개 용해성 혹은 세포-연관형태로 존재하며 여러 특정성을 가진 탄수화물을 인식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특정한 당류에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인식자로 작용한다. 아세틸 아미노 탄수화물, 아미노 탄수화물, sialic acid, hexoses, pentoses 그리고 기타 탄수화물과 상호작용을 한다. 따라서 세포-표면 탄수화물을 인식하는 능력 때문에 렉틴은 미생물, 거식세포 등의 흡착, 세포활성화, 분화, 세포흡착, 이동 그리고 세포괴사 등과의 상호 생리작용을 이용하여 렉틴이 매개된 전달 시스템에 이용되고 있다.
□ 렉틴을 구강 내 표적을 확인하고 표적장소에 약물전달 시스템을 부착시키는 수단으로 이용하여 약물전달을 조절할 수 있고 흡수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구상되었다. 그러나 구강으로나 이를 통하여 치료제를 전달하는 것은 이 특별한 장소에서 일어나는 효과적인 제거작용 때문에 많은 제한을 받는다. 구강점막의 이용은 간의 ‘첫-통과 효과’를 우회하는 장점이 있지만 현재 유전자와 단백질 공학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생물약제’에는 무서운 장애의 관문이다. 렉틴과 같은 장소 특정적 리간드와 더불어 제 2세대 생접착제로 개선된, 혹은 새로운 고분자를 사용하여 약물의 접착 혹은 전달을 꾀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지난 20년 간 생접착 조제들이 개발되었으며 몇 가지는 상당량이 시판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연구동향은, 동국대학교 홈페이지에 의하면, 식물성 렉틴을 국내 자생생물로부터 발굴하여 신 물질 확보, 글리코믹스 연구를 위한 신규 물질 제공, 더 나아가 질병 시 체내 당의 변화를 검지하여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는 렉틴의 이용 기술, 항암제 등과의 화학적 결합에 의한 conjugate를 형성 후 미사일 요법 등에 의한 치료제로의 가능성 등을 연구한다는 연구 proposal이 기재되어 있다.
- 저자
- Smart, JD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56(4)
- 잡지명
-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81~489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