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렉틴-매개된 약물전달 : 역사와 응용(Lectin-mediated drug targeting: history and applications)

전문가 제언
□ 약물을 질병이 발생한 기관이나 장소로 전달하는 것은 약학에서 성취해야 할 주요 과업의 하나이며 이것이 성공하면 치료 능력을 향상하고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세포 독성이 큰 항암제가 이 방법을 필요로 하는데 이들의 좋은 약효가 종종 전신에 미치는 독성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약물이 부착된 용해성 고분자들이 개발되어 표적까지 전달되어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 렉틴은 비 면역 글로블린성 단백질이나 당 단백질로 자연에서 식물, 곰팡이, 박테리아, 해조류, 척추동물의 체액 그리고 포유동물의 세포막에서 분리된다. 렉틴은 대개 용해성 혹은 세포-연관 형태로 존재하며 여러 특정성을 가진 탄수화물-인식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특정한 당류에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인식자로 작용한다. 아세틸 아미노 탄수화물, 아미노 탄수화물, 시알산 (sialic acid), 6탄당 (hexoses), 5탄당 (pentses) 그리고 타 탄수화물과 상호작용을 한다. 따라서 세포-표면 탄수화물을 인식하는 능력 때문에 렉틴은 미생물, 거식 세포 등의 흡착, 세포 활성화, 분화, 세포 흡착, 이동 그리고 세포 괴사 등과의 상호 생리작용을 이용하여 렉틴이 매개된 전달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 또 렉틴의 생 부착성을 이용하여 약물이나 백신을 생체의 점막 표면에 부착내지 흡수시키는 방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렉틴-매개된 표적화와 전달 방법은 점막 내피 세포에 특별한 표면 탄수화물로 약물 수송을 시도하는 것이다. 항체-샘플링 M 세포들은 콜로이드 상태나 입자 상태의 전달 수단들의 흡수구 역할을 하여 박테리아, 바이러스 그리고 불활성 마이크로 입자들을 흡수한다. 렉틴을 이용하여 창자의 M 세포 및 타 장외의 표적에 약물을 흡수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 약물은 주로 삼투가 힘든 물질들을 내피 조직의 활성화된 수용 능력 수송경로를 이용하는 것이다.
저자
Bies, C; Lehr, CM; Woodley, JF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56(4)
잡지명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25~435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