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확률화 시행의 설계 및 분석 실태(Design and analysis of group-randomized trials: A review of recent practices)
- 전문가 제언
-
□ 의학 분야에서 GRT(Group-Randomized Trials: 그룹 임의 확률화 시행)는 환자 개인을 상대로 하는 시험이 효율성이 떨어질 때에 그룹 수준으로 개재 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의료 역학 시행 방법이다.
□ 효과적으로 GRT를 시행하고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룹 형태, 적정 수준의 그룹수, 그룹당 인원수, 급내상관(級內相關; ICC)의 추정 및 이용 방법, 검정력 분석, 시험 결과 자료의 해석 등 통계적 사고와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 본 분석의 원문은 1998~2002년까지 AJPH(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미국 공중건강학술지)와 AJPM(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미국 예방의학학술지)에 발표된 GRT 관련 논문들을 검토하고 특히 급내상관을 적절히 고려하였는지를 분석하여 과거의 조사 결과와 비교한 것이다.
□ 원문에 의하면 발표된 GRT 관련 논문 중에는 GRT를 계획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룹 당 인원을 적절하게 계획하지 않았다, 비교 그룹 없이 1개 그룹만 편성하였다, 급내상관 계수의 크기가 작다고 해서 무시하였다 등의 통계적으로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는 예들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GRT 분야에 관심이 있거나 GRT를 계획하고 있는 이들에게는 일독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Varnell, SP; Murray, DM; Janega, JB; Blitstein, J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94(3)
- 잡지명
-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93~399
- 분석자
- 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