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피부에서 면역감시: 기전과 임상(Immune surveillance in the skin: Mechanisms and clinical consequences)

전문가 제언
□ 인체의 면역감시하면 암과 연관하여 생각하게 되는데 인체의 면역기능에는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이 있다. 체액성 면역은 항원이 체내에 들어왔을 때 그 항원을 분해 제거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어 거의 모든 방어 작용을 나타난다. 또 세포성 면역은 어느 항원에 반응하는 세포를 만들어 면역감시 기구를 작동하고 있다.

□ 피부는 외계 환경과의 경계에서 병원균이나 외상에 제일선의 방어를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기계적인 장벽으로써 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방어기전을 갖추고 있다. 감시체계는 선천적이면서도 후천적인 적응 면역과의 상호작용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그러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면역감시의 중요성은 피부종양이 생기거나 감염으로 면역기능이 감소하게 되는 선천적인 면역결핍증 환자나 장기이식으로 면역억제제를 필요로 하는 경우 그 역할을 확인하게 된다. 피부의 면역체계가 잘못되어 염증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아토피와 알레르기성 피부염, 태선(lichen planus), 탈모증(alopecia areata), 백반(vitiligo) 등을 들 수 있다.

□ 이 글에서는 선천적 면역체계와 후천적인 적응 면역체계에서 피부의 내피세포의 환경과 상호작용 하는 면역기능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면역기능이 면역감시를 통해 이루어지고, 감시체계의 이상이 피부질환으로 이어지고 있어서 면역기전과 관련세포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많은 진전을 보고 있다.

□ 따라서 피부의 면역감시를 통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백신의 연구도 활발하며 그 결과는 피부의 국부적인 적용뿐 아니라 상피와 관련이 있는 다른 조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저자
Kupper, TS; Fuhlbrigge, RC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3)
잡지명
NATURE REVIEWS IMMU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11~222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