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화성 궤양의 약물요법 경향(Trends in peptic ulcer pharmacotherapy)

전문가 제언
□ 본문에서는 소화성궤양에 대한 약물치료를 검토하고 있는데 특히 H. pylori와 항염증 약물에 따른 궤양을 여러 면에서 기술하고 있다. pylori는 호주 Royal Perth Hospital의 Warren과 Marshall이 1983년 환자의 위 점막에서 분리, 배양에 성공하였다. 이 세균은 사람의 위 점막에서만 서식하고 있으며 다른 동물이나 인체의 다른 장기에서는 아직 분리된 바 없다. 이 세균의 미생물학적 특성이 Campylobacter와 유사하고 rRNA 염기서열, 세포막의 지방산 구성, 효소 및 배양 특성 때문에 Helicobacter의 새로운 속(Genus)으로 인정되었다.

□ H. pylori가 처음 보고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이 세균에 대한 각종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위와 십이지장궤양 위암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게 되면서 일반세균학적 특성을 비롯하여 genome분석, 발병결정인자,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이 균은 그람 음성 세균으로 크기는 2-7×0.4 - 1.2㎛정도이다. 배양 배지에는 혈청 성분이나 이를 대신할 수 있는 활성탄이나 Cyclodextrin 같은 고분자 화합물을 첨가해야 한다. 배양 최적 pH는 중성으로 자연 서식처인 사람의 위 점막의 강한 산성 조건과는 상반된다. 체외의 실온에서는 6시간 이내에 모두 사멸하기 때문에, 배양 자체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일반 세균학적 방법으로 연구하기도 어렵다. 대부분의 항생제에 감수성이 매우 높으나 인체에서는 점막에 잘 보호받고 있어 사람의 면역기전이 이를 잘 방어하지 못하고 있다.

□ H. pylori의 유전체 크기는 1.643∼1.736kb이며 대장균 유전체의 1/3정도이다. 현재 이 균종 중에서 두 가지 균주에 대해 유전체 염기서열이 발표된 바 있는데 미국의 Genome Research 연구소가 발표한 H. pylori 26695와 Genome Therapeutic Corp사가 연구해서 Astra사가 발표한 H. pylori J99가 있다.

□ H. pylori는 소화성 궤양의 연구와 치료에 새로운 장을 열게 했으며 그에 따라 많은 치료제 개발과 좋은 치료 효과를 보고 있다. 다만 pylori와 관련이 없는 궤양도 있고 또 다른 약물 때문에 오는 궤양도 있어 이러한 치료에도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
Sivri, B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8(1)
잡지명
FUNDAMENTAL & CLINICAL PHARMA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3~31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