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테로이드성 항 염증약과 심장혈관에 대한 위험성(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cardiovascular risk)
- 전문가 제언
-
□ 이미 COX 저해 약으로서 아스피린, 인도메타신 등의 NSAID가 알려졌으며 1991년에 COX의 새로운 isozyme이 발견되었다. COX-2 의 중요성이 서서히 밝혀져 왔으며 새로운 항염증약으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한편 발암 promotor의 일종인 TPA(12-O-tetradecanoylphorbo 13-acetate)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군 중 종래의 COX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을 갖는 것이 발견되어 그 기능을 탐색한 결과 prostaglandin의 합성이 인정되었고 이 유전자가 새로운 type의 COX를 암호화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COX-1 과 COX-2 의 차이는 COX-2는 유도형 효소로 염증성 cytokine 및 성장인자 등에 의해 유도된다는 것이다. 또한 두 효소의 promotor 형태가 틀리며 COX-2 mRNA의 발현은 항염증 스테로이드인 glucocorticoid에 의해 억제된다. COX-1은 거의 모든 세포에 항상 발현되며 그 중 위점막 세포, 혈소판, 혈관내피세포에서 발현되는 COX-1은 그 역할이 중요하다. 한편 COX-2는 백혈구 등 염증에 관여하는 세포가 IL-1 등의 자극 후 발현되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실제는 많은 세포가 여러 자극에 의해 COX-2를 발현하고 있다.
□ 종래의 NSAID는 COX-1 과 COX-2를 억제하기 위해 위점막 세포의 COX-1 활성도 억제하고 만다. 그 때문에 NSAID에 붙어다니는 위장장해, 신장해 같은 부작용은 COX-2 이 저해된 결과 생리적 역할을 일으키는 PG 의 생성이 정지됨으로써 일어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COX-1은 억제하지 않고 염증소에서 PGE2를 만드는 COX-2만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약물의 탐색이 시작되었다.
□ 사람에 대한 염증은 모두가 COX-2 의존성인가, 소화관에 대한 부작용은 정말 없는가, 염증을 수반하지 않는 통증에도 유효한가와 같은 문제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또한 염증 발현 및 그 과정이 복잡하여서 NSAID가 갖는 부작용을 극복하는 것이 큰 과제로 남아 있다. 대표적인 비특이성 NSAID로 알려진 아스피린은 이미 위장장해와 같은 부작용이 있으며 장점의 하나로 약하지만 혈전용해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타 알려진 다른 NSAID 그리고 새로 개발된 coxib NSAID들이 심장혈관에 위험성이 있는가, 유익한 작용이 있는가의 여부를 구명한다는 것은 매우 참신하며, 부작용이 없고 보다 안전한 NSAID를 발견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로 생각된다.
- 저자
- Howard, PA; Delafontaine, P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3(4)
- 잡지명
-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19~525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