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톡스를 위장 운동성 장애 치료에 사용(The use of botulinum toxin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
- 전문가 제언
-
□ 썩은 소시지나 통조림에서 발견되는 혐기성 세균, 보툴리눔(Botulinum)에서 나온 신경독소가 오랜 연구의 결과로 미국과 영국 등 식약청의 승인을 받아 눈의 사시, 안면경련, 근육질환에 사용되어 오다가 얼굴주름을 제거하는 약물로 이용되면서 많은 사람에게 알려지고 있다.
□ 이 약물이 미국에서는 보톡스(Botox), 영국에서는 디스포트(Dysport)라는 상품으로 연 10억 달러의 시장을 갖고 있다. 국내에서도 200억 원 가까이 소비되고 있으나 전량 수입되고 있다. 보톡스는 이제 주름을 제거하는 제품뿐 아니라 다른 질병에 이 독소를 사용하고 있어 관심은 더 높아지고 있다.
□ 이 보톡스가 위장질병에도 10년 넘게 사용되어 왔고 그 용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이완불능(Achalasia)과 항문균열(Anal Fissure)에는 치료효과도 좋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노인의 Achalasia에서는 효과가 크다는 보고서를 이 논문에서는 검토하고 있으며 그 외 괄약근장애나 직장장애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 보톡스의 발견은 우연한 것으로 19세기 초 독일에서 식중독으로 한번에 200명 이상이 사망한 사건이 있었으며 식중독의 원인은 보관이 잘 안된 소시지나 통조림에서 유래하는 미생물로부터 나오는 보툴리눔(Botulinum)이라는 독소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그 때부터 이 질병을 보툴리즘(Botulism)이라 불렀으며 이 말은 라틴어로 소시지라는 뜻이다.
□ 그때 이미 이 독성물질이 근육의 수축을 마비시키는 데 쓰일 수 있다고 예견을 했으며 보툴리눔 독소가 질병치료에 이용되기까지는 거의 1세기가 걸렸다. 1973년 미국의 안과의사 엘런스코트가 원숭이 실험에서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이 지나치게 수축된 것을 보톡스로 약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가 있은 후 이 독소가 많은 근육질환은 물론 미용과 위장질환에 효과를 내고 있다.
- 저자
- Friedenberg, F; Gollamudi, S; Parkman, HP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9(2)
- 잡지명
-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65~175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