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에서의 탄호수소의 유출(Hydrocarbon spills on Antarctic soils: Effects and management)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도 해양수산부산하의 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해양연구원을 주축으로 한 각 분야의 연구원들이 남극의 세종기지에 상주하며 독자적인 연구와 국제간의 협동연구를 병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 이미 각국간에 남극연구기지에서의 연구 활동에 수반되는 가능한 오염에 대한 사전예방활동과 사고감소 및 사고발생시의 긴급조치활동이나 사고의 보고체계 등에 대한 남극 조약 어젠다에 대하여는 현지에 파견된 연구원 각자가 충실히 준수하여 우리나라로 인하여 남극대륙의 환경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정부차원에서도 연구 설비 보완이나 관리제도의 보완에 각별히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 국내의 군주둔 지역 및 산업지역(특히 석유화학공단)은 경제성장과정에서 실로 유류로 인한 환경오염이 엄청난 지역이고 현재까지 별로 복원에 대한 계획조차 수립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며 남극뿐 아니고 국내에서도 유류오염지역의 미생물을 이용한 생복원은 시간은 많이 걸리나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일 수 있으나 적합한 생분해 미생물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인데 이를 풀 수 있는 단추를 남극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은가 생각할 수 있다. 가혹한 환경에서 성장한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좋은 환경 하에서는 분해효율이 일반적으로 뛰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 유류 오염처리 방법 중 미생물에 의한 생복원을 연구함에 있어 하나의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 저자
- Aislabie, JM; Balks, MR; Foght, JM; Waterhouse, EJ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8(5)
- 잡지명
-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265~1274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