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및 미국의 수변 완충지역 너비 지침의 정량적 검토(Quantitative review of riparian buffer width guidelines from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 전문가 제언
-
□ 초목으로 된 완충 지역은 오염물의 흡착, 하천 둑의 안정화 및 미기상학적(微氣象學的) 개선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퇴적, 농업 경사지로부터의 농약 및 잔류 유기물과 같은 비점(非点) 오염원(汚染源)이 수질 악화의 주요 원인이다. 비점 오염원은 셀 수 없이 많은 작은 교란의 결과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제어할 수 없다. 수변 초목은 농업 경사지로부터의 비점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 하천의 물길에 따라서 자란 큰 나무, 관목 및 초지 등의 완충 지역은 지표에 흐르는 빗물의 속도를 이상적으로 늦추고 오염물을 여과한다. 수변의 완충 지역은 다양한 식물, 동물 및 자연적 군집∙군락에 대해 수생에서나 육생에서의 서식지를 제공한다.
□ 하천 하류의 홍수, 하천 제방의 붕괴 및 침식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이득을 고려하고, 비점 오염원 농장으로부터 하천수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변의 수목 완충 지역 설치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농약에 대한 초목 완충 지역 너비의 영향에 대해서는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개별 지역에 대한 수변지역의 초목 완충 지역 너비의 효과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경우마다 개별적으로 조사하여, 해당 지역의 지리적 특성 및 총체적 수질 관리 측면에 알맞는 합리적 너비를 설정하여야 한다.
□ 우리 나라는 인구 밀도가 높기 때문에 하천 수계에 인위적인 오염이 심한 편이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0조의 용도지역 세분 내의 수변 경관 지구는 ‘지역 내 주요 수계의 수변 자연 경관을 보호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로 규정하여 수변을 관리하고 있다.
□ 이 법의 경관 관련 기준으로서는, ‘주요 하천변은 오염 행위 및 무분별한 개발 등으로 하천 경관이 단절되거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난개발을 피하고 가급적 완충 지역(수변 약 50~100m이내)을 설정하여 수변의 녹지 공간을 보전한다’라고 기술하고 관리하고 있다.
□ 우리 나라에서도 지역 주민의 생활 수준 향상에 따른 문화 및 정서적 욕구의 증가로 문화 시설, 공원 등 휴식 공간의 필요성에 따라 수변 공간 활용에 대한 욕구가 나타나고 있다. 그리하여 주요 하천의 수변에 나무 심기 및 숲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 원문의 연구 결과를 세밀하게 우리의 실정에 맞추어 적용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
□ 낙동강 수계 중 남강댐을 제외한 임하댐, 영천댐, 운문댐 및 밀양댐 주변은 2002년 9월에 수변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수변 완충 지역의 이득을 고려하면 이 지정 조치는 당연하며, 하천의 상류에서의 오염의 방지가 하류에서의 오염물 처리보다는 훨씬 합리적이며 경제적 방법이라는 것은 자명하다.
- 저자
- Lee, P; Smyth, C; Boutin, 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70(2)
- 잡지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65~180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