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상 벌크 슬러지(Filamentous bulking sludge)
- 전문가 제언
-
□ 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폐수 중 유기물질이나 질소화합물이나 그 외의 영양소를 제거하는 공정은 생물학적 과정이라 하겠다. 이 과정 중에 폐수 중의 미생물의 활동으로 이 목적을 이룰 수 있다.
○ 이 생물학적 과정 뒤에 따르는 물리적 과정으로 폐수 속에 있는 고형물질이 정화조에서 쉽게 침강함으로서 액체와 분리되고 또 이 고형물질이 쉽게 소형화(Compact) 하여 부피가 줄어들어야 한다.
- 이 과정 중 섬유상 박테리아는 한 쪽 또는 양쪽으로만 자라기 때문에 활성 슬러지의 벌크 문제를 일으켜 침강 성적이 불량하고 부피가 커지며 컴팩트화 하기가 어렵다.
□ 본문에서 형상학적으로 비슷하나 서로 관계없는 미생물종이 많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그러면서도 박테리아를 섬유상 박테리아 군과 응집물질 형성 박테리아 간의 생존경쟁관계로 보았다. 활성 슬러지의 운전 조건을 응집물질 형성 박테리아에게 유리하게 함으로서 섬유상 박테리아의 수를 줄이고 침강 성질의 개선과 슬러지의 최소화를 달성하려는 것이 본문이 의도하고 전달하려는 내용이다.
○ 기질의 농도 구배를 크게 하고 이것을 혐기성 반응기나 무 산소 상태에서 균주에 의해 소비를 촉진시켜(그러기 위해서는 플러그 흐름이 가장 유리하다.) 최종적으로 호기성 상태에서 활동하는 섬유상 박테리아에게 생존에 불리하게 하는 것이다.
- 또 혐기성 상태와 호기성 상태, 무 산소 상태가 전체 완전 혼합형인 반응기를 칸을 막아 이를 각각 특성대로 분리함도 활성 슬러지의 벌크 문제 해결에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
□ 그러나 앞에 말한 대로 미생물은 현미경적 형상학만으로 그 종을 분리할 수 없다. 같은 종도 환경에 따라 그 형상학적 형태가 변화하기도 한다. 따라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분자 수준의 접근, 즉 미생물의 유전자(DNA나 RNA)에 의한 분리가 가장 확실할 것이다.
○ 생물학적 접근 외에도 공학적 접근, 반응 속도론적 해석 등 아직 정립되려면 상당한 연구 활동이 필요한 분야라 생각한다.
- 저자
- Martins, AMP; Pagilla, K; Heijnen, JJ; van Loosdrecht, MC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8(4)
- 잡지명
- Water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93~817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