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 흡착 태양열 냉동의 개관(Review of solid adsorption solar refrigeration II: An overview of the principles and theory)
- 전문가 제언
-
□ 여기에서 소개한 기술은 태양열을 열원으로 하여 피흡착 물질을 흡착제에 흡착 탈착 과정을 거치는 동안 냉동 에너지를 얻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이미 에너지 관련 교과서나 재생 에너지(태양열 포함) 관련 문헌에도 많이 나와 있다. 고체를 흡착제로 사용하는 까닭에 유체처럼 펌프 등으로 이송시킬 수 없어 간헐운전만 가능하고 연속 운전을 하려면 2개 이상의 흡착층이 필요하다. 즉 하나의 흡착기가 흡착하는 동안 다른 하나가 탈착함으로서 실제적인 연속운전의 효과를 얻는 것이다.
○ 본문의 필자는 나이지리아의 과학자로서 본문 곳곳에 가난한 나라에서 기술 응용의 제약이 나타난다. 즉,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지 아니한 것, 제작하기 간단한 것, 고장이 잦고 운전에 기술이 필요한 움직이는 부품이 없는 것과 싸게 구입할 수 있는 흡착제와 피흡착물 등 선택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 본문을 분석함에 있어 수식을 피하고 원리와 운전 조건, 그리고 흡착제와 피흡착물의 비교에 충실하려 했다. 그리고 기본 원리를 이해한 후 그 응용에 특성을 중요시하고 분석하였다.
○ 마지막 장은 흡착 평형이론의 수식을 소개하고 있으나 이 역시 흡착이론 교과서에 나오는 이론으로 새로운 것이 별로 없다. 더구나 이들 모델들은 아직 태양열 구동 흡착식 냉동기에 응용할 단계까지 이르지 못하고 단순히 흡착 이론에만 적용하려 하고 있을 뿐이다. 본문에서도 이를 냉동기에 응용하려는 기도보다는 단순한 나열에 그쳤다.
- 비록 이 흡착이론의 모델이 언젠가는 태양열 이용 흡착식 냉동기의 성능해석에 응용될 날이 올 것이나 아직은 그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는 점에서 분석자도 중요한 모델 몇 개를 소개하는 정도로 끝냈다.
- 저자
- Anyanwu, E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45(7-8)
- 잡지명
-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279~1295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