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막공진기 기술의 동향(A review of thin-film resonator technology)
- 전문가 제언
-
□ 수정(水晶)공진기의 역사는 오래되었다. 수정은 공진주파수의 안정성이 좋고 높은 Q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정편을 깎아 공진기를 만들어 왔다. 그러나 주파수가 높아지면 수정편이 얇아져서 기계적으로 제작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수정편으로는 수 10~100MHz 범위가 일반적이었다.
□ 1960년대부터 시작된 TFR의 제작은 마이크로전자 프로세싱의 기술의 발전으로 30GHz까지 설계제작이 가능하게 되어 휴대전화기의 기판에 장착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 졌다. 국내 중소 IC 생산업계는 이러한 공진기를 포함하여 필터, 발진기, 기타 분배기 등 마이크로파 부품의 생산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앞으로 Ka대역 까지도 TFR을 확장 시켜야 할 것이며 필터를 포함한 발진기 등 기타부품을 SMD(Surface Mounting Device)화 함은 물론 더 나아가서 RF모듈이 포함된 시스템 전부 또는 일부라도 모노리틱 IC로 개발해 나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Lakin, K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4(4)
- 잡지명
- IEEE MICROWAVE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61~67
- 분석자
- 양*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