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동력 시스템의 발전 계획 기법(Review on methods of generation scheduling in electric power systems)
- 전문가 제언
-
□ 본문은 발전시설을 수요에 맞게 가동하여 생산된 전기를 가장 경제적으로 소비자에게 송전하기 위하여 복수의 생산설비 중 가동할 설비와 운전 정지 할 유닛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에 대한 것이다.
○ 인간의 활동은 시간에 따라 다름으로 전기 수요도 시시각각으로 변하고 있다. 따라서 수요가 폭주하는 시간대에는 생산 비용이 많이 들지만 시동과 정지가 간단한 발전기(예: 디젤 발전기)도 가동시켜야 그 수요를 감당할 수 있다.
○ 그러나 수요가 대폭 주는 심야 시간대에는 기본적으로 부하의 변동이 어렵고 비용이 싼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만으로도 충분하다.
- 본고에서 누차 언급된 보안(security)는 전기적 안정을 뜻하며 수요가 있을 때는 언제나 또 어디서나 반드시 전기를 공급해 주어야하는 전기 시스템 관리자의 의무이다.
□ SCUC와 PBUC를 비교할 때 일반적으로 이익의 최대화는 근본적으로 비용의 최소화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이익은 비용의 반대는 아니며 수입에서 비용을 뺀 것이다. 즉 이익은 비용에만 달린 것은 아니며 수입에도 달려 있다.
○ 수입이 비용보다 클 때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하여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것이며 수입이 비용보다 작으면 에너지를 판매하는 것이 매력적이지 못하다. 보안은 개별 발전회사의 책임은 아니며 그들에게는 시장에서 전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한 요소에 불과하다. 보안은 ISO의 책임임으로 발전회사는 최대 이익이 목표이다.
○ 극단적인 예로 이 새로운 패러다임의 목적이 비용을 최소화 하는 것이라면 발전 회사는 부하에 대한 책임이 없음으로 발전을 중단할 수도 있다. SCUC에서 수요전망으로 발전회사에게 발전량을 할당하지만 PBUC에서는 수요를 안다고 전제하고 쌍방의 계약으로 이 문제를 해결한다.
- 저자
- Yamin, HY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69(2-3)
- 잡지명
-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27~248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