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아의 장기이식 요약서(Pediatric transplantation of the kidney, liver and heart: Summary report)

전문가 제언
□ 실질기관(實質器官)은 ‘50년대 성인을 시작으로 ’60년대 중반에 아동이식으로 확대되었고 ‘80년대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이 개발되면서 기관이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소아환자의 이식 후 성장과 인성 및 정신사회적응이 문제시 되어 신장과 간 및 심장이식 아동을 중심으로 미국의 소아이식에 따른 일반 권고사항과 특별 권고사항을 중심으로 Fine 등은 요약 발표하였다.

□ 신장질환과 이식아동의 성장은 스테로이드처방의 제한과 재조합 합성호르몬(rhGH) 투여로 크게 개선되었고 인성관련 연구는 미흡하여 신장질환이 인성에 미치는 특정 취약점과 이식교정에 순응해야 할 요인확립이 절실하다. 정신사회면 발달에서는 일반적인 복막투석보다도 중요한 것이 재활치료로 아동의 자부심 조절과 행동양식 교정이 중요하였다.

□ 간이식은 5세미만 아동의 영양실조가 주인자로 작용하며 스테로이드 처방억제나 rhGH요법으로 성장이 향상되었으나 인성발달은 특정위해인자가 확인된 바 없고 정신사회 발달은 부모의 삶에 질(QOL)과 불안 및 통제된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 심장은 다른 기관이식보다 성장에 호의적이어서 적절한 스테로이드처방조절로 달성될 것으로 보였고, 인성발달 역시 정신운동 발달이나 지능지수(IQ)는 정상점수를 보이나 심장질환의 혈액저산소증으로 진행성인성장애에 관련되었고 정신사회 발달은 이식 후 1년간 고통이 지속되어 장기간 추적연구가 요구되었다.

□ 일반적으로 아동이식에는 IQ검사, 성취도검사, 신경심리검사 및 표준평정척도검사로 인성과 신경사회 발달정도를 추적하지만 가족의 유전형질과 주변 환경요인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지적한 미세한 변화나 각종요인 규명을 위한 장기간의 추적연구는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객관적이고 보편타당성 있는 강력한 지침을 우리도 도입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Fine, RN; Alonso, EM; Fischel, JE; Bucuvalas, JC; Enos, RA; Gore-Langton, RE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8(1)
잡지명
PEDIATRIC TRANSPLANTA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5~86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