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토닌과 바이러스 감염증(Melatonin and viral infections)
- 전문가 제언
-
□ 멜라토닌은 뇌 안의 송과선(pineal gland)에서 만들어진다. 이 곳은 두 대뇌반구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는 분비샘으로 데카르트가 영혼이 머무는 자리로 생각했던 곳이다. 이 물질은 세로토닌으로부터 두 단계를 거쳐 만들어지는 N-acetyl-5-methoxytryptamine으로 빛에 의해 낮과 밤의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작용을 갖는다. 특히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이 잘 알려져 있으며 불을 끄면 멜라토닌의 생성이 증가되고 혈중으로 분비되어 잠을 유도하고 아침이 되면 혈중 멜라토닌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잠에서 깨어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실제로 멜라토닌은 불면증 치료와 시차로 인한 수면 장애에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 멜라토닌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이 물질이 호르몬계뿐만 아니라 면역계와 신경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강력한 항산화제의 역할을 비롯하여 노화 억제와 면역 기능 강화 작용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멜라토닌은 전립선 확대와 암의 치료에도 결정적 역할을 하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생식 능력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 그러나 멜라토닌이 갖는 다양한 생리적 효능에 대한 연구결과들과 이 물질의 우수한 안전성 그리고 손쉽게 건강식품으로 구입하여 복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이 물질의 오남용을 부채질하고 있다. 이 물질의 많은 생리 효능은 in vitro 내지 동물시험에서 확인된 것으로 아직 체계적인 임상시험 결과가 없기 때문에 무분별한 사용은 자제되어야 한다. 특히 최근에는 잡지나 TV 같은 대중매체에서 자폐증의 치료, 노화 억제, 정신분열증 치료 및 단조로운 성생활의 개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해결책으로 선전하고 있어 적당한 규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저자
- Bonilla, E; Valero, N; Chacin-Bonilla, L; Medina-Leendertz, 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36(2)
- 잡지명
- JOURNAL OF PINE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3~79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