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지에 방목하는 젖소사료에 지방첨가 효과(Effects of fat supplementation on milk production and composition by dairy cows on pasture: a review)
- 전문가 제언
-
□ 초지 방목하는 젖소의 일반적인 우유 생산량은 TMR 사양 방식 보다 우유 생산량은 적으나 우유 생산비 측면에서는 유리한 면이 있다. 또한 우유 생산량은 젖소가 섭취하는 에너지 총량이 가장 중요한 제한요인으로서 지방은 단위 무게 당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은 사료원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초지방목 사양에서 지방첨가하면 우유생산량이 증가 및 유지방율이 향상되었고 단백질 생산량도 증가 하였다. 특히 불포화 지방을 급여하면 사람의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발휘하는 불포화 지방산 및 CLA함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 초지 방목 사양 시스템은 우리나라와 같은 자연환경 조건과는 상당한 거리감이 있는 사양방식이다. 따라서 우리의 경우는 현재 일부 소수의 대단위 농장을 제외하고 모두 TMR 사양 방식을 체택하고 있다. 또한 우유는 최종적으로 사람이 소비하여 그 가치를 인정받는 식품으로서 우유는 완전식품이라는 과거의 개념으로는 현대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앞으로의 우유생산 방향은 기본적인 생산량은 물론 기능성 물질함량이 높은 고품질의 우유생산이 요구된다. 또한 현재의 우유가격 산정방식도 유지방율을 체택하고 있으며 아울러 자연스러운 반추동물의 소화생리상 우유 지방산은 포화지방산이 높아서 소비자가 원하지 않는 포화지방을 많이 생산한다는 불합리점이 존재한다.
□ 그러나 사료급원을 조절하고 반추위의 발효를 조절하면 같은 지방이라도 건강에 유익한 불포화 지방산 및 CLA함량이 높은 우유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은 많이 존재하고 있다. CLA는 자연적으로는 반추동물이 생산하는 식품으로서 소고기 및 낙농제품에 함유되고 있는 항암성, 심혈관 질환 예방, 당뇨병 예방 및 체중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는 지방산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성 지방산이 많이 함유된 우유 생산을 위한 연구는 사료자원을 외국도입에 의존하고 있고 또한 시장개방 여건 하에서 우리의 식품관련 산업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 저자
- Schroeder, GF; Gagliostro, GA; Bargo, F; Delahoy, JE; Muller, LD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86(1-3)
- 잡지명
- LIVESTOCK PRODUCTION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8
- 분석자
- 윤*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