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닭의 맹장에서 탄수화물 발효(Carbohydrate fermentation in the avian ceca: a review)

전문가 제언
□ 가금류 사료는 주로 식물성 단백질원을 기초로 배합되고 함유된 탄수화물이 주요한 에너지원이다. 가금의 소화관내에서 스타치류는 잘 소화되지만 탄수화물의 한 분획인 식이성 섬유소는 닭의 소화기관내 효소에 의하여 가수분해가 어렵고 서식하는 혐기적 미생물에 의하여 발효된다. 그러나 펜토산, 펙틴, 베타-글루칸 등을 함유하는 비전분성 다당류성 식이섬유소 급여는 가금에서 영양적 가치가 거의 없으나 이것을 기질로 하여 맹장 미생물 발효작용으로 생산되는 유기산은 가축에게 추가적인 에너지를 공급하여 줄 수 있으며 아울러 병원성 미생물을 감소시키는 정균효과를 발휘한다.

□ 가금류 중 인간에게 식품소재를 공급하여 주는 육계와 산란계의 경제적인 사양체계를 고려할 때, 본고에서처럼 맹장이 생산하는 에너지가 가축의 에너지 이용 체계를 보충한다는 측면은 닭의 경우 실제로 효용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맹장에서 생산되는 유기산은 병원성 미생물을 감소시키는 정균효과 및 가축의 체내 콜레스테롤의 대사를 개선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금이 생산하는 고기 및 계란의 경우 식중독 미생물인 살모넬라의 오염으로 인한 위생성도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맹장의 발효상태를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사양방법의 개발은 근본적으로는 닭의 질병 저항성을 향상시켜 추가적인 항생물질의 남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생산되는 축산물의 위생 상태를 근원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Jozefiak, D; Rutkowski, A; Martin, S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113(1-4)
잡지명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15
분석자
윤*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