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대형 스바루 천체 망원경 분석

전문가 제언
□ 앞으로 반사경 구경 100M급의 망원경이 회절한계를 극복하고 제작되어 관측이 실용화될 때는 거대하고 압도적인 집광력으로 지금까지는 보지 못했던 극히 먼 은하계까지도 탐사할 수 있을 것이다. 가시영역에서 보상광학 시스템을 응용하는 데는 구동소자의 수가 수만 개나 이를 것으로 추정되어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많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현재 구경 8M급의 망원경으로는 관측한계가 28등급 정도인데 앞으로 이보다 약 10만 배나 더 어두운 36등급의 천체까지도 볼 수 있어서 우주 유년기시대 이전의 단계까지도 볼 수 있다는 계산이 된다.

□ 소개된 일본 천문연구소의 스바루 망원경은 명실공히 세계 최고, 최대의 천체망원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은 천체망원경 제작뿐만이 아니라 천문관측분야에 있어서는 전문 연구소는 물론이거니와 아마추어들의 활동이 매우 활발하다. 발달된 렌즈 가공기술을 바탕으로 아마추어들이 직접 천체망원경을 손수 제작해서 천문관측을 하고 혜성을 발견하는 등 그 활동범위도 광범하다. 하지만, 이러한 분야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것은 인류의 미래에 대한 비전과 미지의 세계에 대한 인류의 본능적인 관심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일본이 미국과 협력하여 위성 산업분야에서 상당한 주요부분을 담당, 개발 생산하였고 기술적 노하우도 가지고 있으나 아직은 우주선 본체 및 발사체 등 우주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들의 막강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차후 이 분야에서 세계의 주역으로 떠오를 날이 올지도 모른다는 우려 섞인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 오늘날 우리나라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산업을 중시하고 공학을 경시하며 더불어 순수과학까지도 벽안시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인데 이는 미래를 지향하고 선진국으로 발돋음 하려는 우리들이 취할 태도가 아니다. 서양이 르네상스를 기점으로 산업이 부흥된 이후도 오늘날까지 기술 발전을 계승해서 이어왔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의 발달된 정보산업 분야의 기술과 노력으로 가까운 이웃 나라 일본의 이러한 발달된 과학기술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것이나마 다행으로 생각하며 앞으로 우리의 우주과학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 및 이에 따른 기술발전을 기원하는 바이다.
저자
Masanori IY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42(1)
잡지명
광기술콘택트(N140)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3~19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