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의 제시와 가상현실(Robotic Virtual System : Scent Displays for Virtual Reality)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와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의 관점에서 5감 인터페이스의 연구로 시각, 청각, 촉각뿐만 아니라 후각, 미각에 이르기까지 대상을 확대하여 종합적으로 현장감을 연출하려고 하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다. 5감 중에서 시각, 청각, 촉각이 물리적인 자극에 따라 생성되는 데 대해 후각, 미각은 화학적인 자극에 의해 생성된다.
□ 후각 디스플레이를 VR의 특징인 시공간적인 제시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 이미 여러 가지 형태가 개발되어 있는 시각 디스플레이와 대비해 보면 흥미로운 면이 있다. 자극이 미치는 공간의 크기에 관한 분류로 첫째, 광범위하게 자극이 미치는 것은 공간적인 제어를 특별히 받지 않는 형태로 시각(빛)에서 말하면 조명에 해당된다. 둘째, 대단히 안정된 공간에 제시하는 형태로 시각제어에서는 HMD가 여기에 해당한다.
□ 후각 디스플레이를 위한 냄새제시의 경우 단순히 공간에 확산시키는 형태(조명과 같은 존재)와 튜브를 코 앞에 가져와서 그 인간만이 냄새를 느낄 수 있는 형태(HMD와 같은 존재)로 대별된다. 여기서 냄새의 국소제시를 실현하기 위한 확실한 방식을 마스크형'이라고 부르며, 시각 디스플레이에서 말하면 HMD에 해당된다. 이에 대해 '프로젝션형'은 데스크톱(desktop) 환경이나 비장착형 시각제시 등과 병용하면 효과적일 것이다.
□ 후각 디스플레이는 냄새의 감각이 잔존하므로 급격한 환경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기 곤란하다. 가상현실 속에서 사용자가 갑자기 다른 환경 속으로 들어가거나 다른 행동을 취할 때 이에 따른 냄새의 변화를 빠르게 바꿀 수 없는 점이 후각 디스플레이의 가장 큰 단점이다.
□ 후각과 미각은 실제적인 분자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신장치 역할을 하는 코와 입을 통해 특정신호를 뇌에 보내게 된다. 후각 디스플레이와 미각 디스플레이의 개발은 매우 어렵지만 궁극적으로는 뇌파를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냄새와 맛을 강제로 느끼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Yasuyuki YANAGI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2)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39~144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