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로봇의 시각적 휴먼 인터페이스 기술(Visual Human Interface Technology for SF Robots)
- 전문가 제언
-
□ 조종형 로봇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인간의 의지를 어떻게 로봇에게 전하고, 로봇이 받는 자극을 어떻게 인간에게 전할 것인가 하는 휴먼 인터페이스이다. 조종형 로봇의 지적 원격제어를 위한 시각적인 인터페이스가 되는 디스플레이는 그래픽스, 실화상, 텍스트의 3가지 비주얼 미디어를 표시한다고 하여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MMD; Multi Media Display)라고 부른다.
□ MMD는 고속 그래픽스, 표시 물체의 고속 피킹, TV 카메라 화상 등의 중첩 표시(superimposed display)와 입체시(立体視)를 하드웨어로 제시된 멀티윈도우에 표시한다고 하여 당시로는 획기적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었다. MMD가 목표로 한 것은 컴퓨터가 만드는 가상적인 공간에 자유자재로 물체를 조작하는 것이었다. 즉, 로봇이 조작할 물체를 지시하거나 움직임을 교시하는 것, 물건과 물건이 부딪쳐서 간섭이 일어난 것을 조작자에게 피드백하고 컴퓨터가 생성한 로봇의 궤도를 실제의 화면(카메라 화상)에 중첩 표시함으로써 실제적인 시뮬레이션을 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MMD의 역할은 3차원의 움직임을 긴장감 넘치는 화상으로 표시하는 데 있었다.
□ MMD는 당시의 그래픽스 디스플레이에서는 예가 없는 양안 입체시(兩眼立体視)를 시도하고 있다. 이 양안 입체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2종류의 화상을 만들어내야 하는데, 이를 위해 2개의 그래픽스 파이프라인을 만들기 위해 2배의 자원이 필요하다. 슈퍼임포즈는 조작자의 눈과 화면의 위치 관계, 대상물과 카메라의 위치 관계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시각적 정보 입력에는 여러 가지 기계적인 문제가 발생하므로 뇌나 신경에 직접 정보를 입력시키려고 하는 BCI(Brain Computer Interface)나 BMI (Mrain Machine Interface) 등 마치 SF의 세계와 같은 연구가 미군 등에서 실시되고 있다.
- 저자
- Toshihiro MATSU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1)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0~14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