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접속기술의 현상과 미래(Advanced Technology in Novels, Cartoons and Movies)
- 전문가 제언
-
□ 생체의 신경계와의 직접적인 정보입출력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 및 개념을 신경 인터페이스(neural interface)라고 부른다. 신경접속기술의 과제에는 첫 번째로 어떻게 하여 생체의 신경계와 인공기기들을 접속하는가 하는 디바이스(device) 면에서의 과제와 두 번째로 신경계의 신호를 어떻게 해석하는지, 그리고 역으로 어떻게 하여 신경계에 정보를 입력할 것인가 하는 코딩(coding) 면에서의 과제 등이 있다.
□ 신경세포 근처 혹은 신경세포 내에 전극을 위치시킴으로써 신경신호를 계측할 수 있으며, 또한 역으로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신경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전극을 신경전극(neural electrode)이라고 한다. 신경전극에는 유리관 전극이나 미세금속 와이어를 이용한 종래형 전극, 배양신경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신경전극으로서의 전극 어레이(array) 기판, 실리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작성한 침상(針狀)의 프로브 표면에 다수의 미소전극을 배치한 형상의 전극인 프로브 전극, 고 애스펙트(aspect) 비(比)의 가공기술을 배경으로 하여 미국 Utah 대학을 중심으로 개발된 검산형 신경전극, 그리고 말초신경의 재생능력을 이용하는 전극으로서 신경재생형 전극 등이 있다.
□ 신경접속기술에 관련된 응용사례로서는 인공감각생성으로서 인공시각, 인공청각, 인공촉각을 들 수 있으며, 기능적 전기자극(FES)과 바이오닉(bionic) 의료, 그리고 외부기기제어로서 인공장기제어를 들 수 있다. 수용기로부터 감각기관에 이르는 신호경로 도중에 적절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인공감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것은 어느 감각에서나 공통되는 원리이다. 앞으로 더욱 더 신경접속기술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요소기술이나 그 응용을 취급하는 연구분야인 신경공학과 이를 포함하는 신경과학연구방법의 제시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Takafumi SUZU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1)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5~20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