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팩토리(Robotic virtual system)
- 전문가 제언
-
□ 제조업의 IT 전략을 위한 도구는 가상화기술과 네트워크 로보틱스 기술로, 그 목적은 기술혁신과 기업활동의 활성화에 있다. 버추얼 리얼리티(VR; Virtual Reality)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새로운 생산방식을 버추얼 팩토리(VF; Virtual Factory), 또는 디지털 팩토리(DF; Digital Factory)라고 한다.
□ 가상공장(VF)은 실제로 생산하기 전에 컴퓨터 안에서 제품을 생산하여 제품개발기간을 단축하거나 제품품질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오늘날 가상공장(VF)에서는 CAD/CAM 시스템과 구조설계를 위한 CAE 소프트웨어의 표준통합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성형가공과정 그 자체를 컴퓨터에 의해 시뮬레이션하는 가상생산도 전개되고 있다.
□ 제조지원 디지털화기술로는 쌍방향 원격임장 생산기술, 쌍방향 원격 마스터 슬레이브형 미세작업기술, 촉각정보에 따른 원격임장감기술 등을 들 수 있다. 원격임장 생산,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형 생산은 실세계를 작업대상으로 하는 형태로, 데이터 교환이 쌍방향(bilateral)인 것과 원격조작 및 조작임장감이 특징이지만 거리나 공간 측면에서 현존하는 세계와 다르므로 넓은 의미에서 가상세계라고도 할 수 있다.
□ 차세대 생산의 바람직한 형태인 가상공장(VF)에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마스터 슬레이브형의 텔리로보틱스(telerobotics) 기술과 가상현실(VR)에서의 원격임장감에 대한 마스터 슬레이브 기술은 필수 요소기술이다. 일본의 생산과 가공기술이 한층 더 높은 브레이크 스루(break through, 기술돌파)를 하려면 인간과의 협조를 염두에 둔 원격조작기술을 미세작업기술의 지원방식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촉각정보에 따른 원격임장감을 위해 텔리로보틱스 분야에서는 마스터 슬레이브를 사용한 고임장감 원격조작으로 역각을 피드백하는 역귀환형의 쌍방향 제어 시스템 구축이 적극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또한,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원격의 실세계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 저자
- Hideo FUJIMOTO ; Lian-vi CHEN ; Akihito S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2)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55~160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