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공작기계의 절삭가공기술

전문가 제언
□ 환경에 대응한 절삭가공기술은 드라이 및 세미드라이 절삭가공기술, 다이아몬드 코팅에 의한 가공기술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윤활효과에 의한 공구날 선단부와 공작물의 전단각 변화, 냉각효과에 따른 공구온도 변화 등이 공작물의 절삭가공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생산현장에 새로운 절삭가공방법으로 도입하는 경우, 이에 대한 사전 검증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필요하다.

□ 선진공업국의 환경대응 절삭가공기술 개발동향 및 생산현장도입실태를 살펴볼 때 세미드라이 절삭방법 가운데 MQL 절삭가공방법이 활발하게 보급 확산되는 추세에 있으므로, 국내 생산현장에 있어서도 제품의 생산원가 절감 및 환경대응 절삭가공 기술의 도입적용은 MQL 절삭가공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며, MQL 절삭가공작업용 유제로는 적절한 미스트화 특성과 높은 산화안정성을 갖춘 합성 에스테르계 유제의 사용을 적극 권장한다.

□ 드라이, 세미드라이 가공시 절삭공구의 수명특성 요인으로서 공작물을 절삭가공시 절삭공구날의 선단부분에 발열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이에 대하여 절삭공구의 이송속도가 높은 경우, 절삭공구날의 선단부가 발열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공구설계, 고속절삭가공에서 절삭된 칩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절삭공구날 선단부의 정체시간을 단축도모, 절삭공구날의 선단부와 공작물의 가공부위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서 공구날 끝부분의 냉각과 절삭칩의 배출을 촉진시키도록 할 것, 내열성, 내마모성과 자기윤활효과를 갖춘 우수한 초경합금인 CBN소결체, 다이아몬드 소결체의 공구재료를 사용토록 할 것 등의 개선 대책방안이 필요하다.

□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생산설비의 가동률 향상과 전원참가의 생산보전활동의 추진전개에 의하여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향상과 원가절감, 생산현장 종업원의 안전을 목적으로 실시중인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활동과 연계하여 환경대응 절삭가공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정부, 관계기관 및 관련업계의 적극적인 업무협조체제 구축방안의 모색강구가 필요하다.
저자
Sirase Geiich ; Suzuki Yasuo ; Yokota Hideo ; Naga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198)
잡지명
The tribology(N265)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2~30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