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마제에 의한 가공기술
- 전문가 제언
-
□ 연마제(abrasive)를 이용한 입자가공에는 연마제 종류나 성형상태에 따라 고체형 입자가공과 유리미립자가공 또는 초미립자가공이 있으며, 고체형 입자가공은 연마제를 결합제와 혼합하여 고화시킨 숫돌을 고속 회전기계(연삭기: grinding machine)에 고정시켜 연삭하는 연삭가공과, 미립자 또는 초미립자가공은 숫돌을 이용한 호닝(honing)과, 슈퍼 피니싱(super finishing)이 있고, 연마제 가루를 이용한 래핑(lapping), 배럴가공(barrel finishing), 초음파가공 등이 있다.
□ 연삭(grinding)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숫돌(grinding wheel)재료는 알루미나(A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알런덤(alundum)의 A숫돌과, 탄화규소결정질의 화합물(SiC)인 카보런덤(carborundum)의 C숫돌이 있다. 연마는 탄성고무나 면포 등에 숫돌재료(abrasive)를 조합시켜 이를 공구로 공작물 표면을 문질러 닦아내어 높은 표면조도를 얻어 경면가공 등을 하는 것이다. 양자 모두 정밀 내지는 초정밀 가공으로 공구인 연삭숫돌과 숫돌재료조합의 연마제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며, 특히 연마작업인 경우에는 사람 손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숙련자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기계화나 자동화 또는 무인화가 요구된다.
□ 최근 고경질 절삭공구(throwaway tip)의 개발로 선삭가공으로도 연삭가공수준의 선삭정밀도를 얻을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또 연삭가공은 건식이나 준 건식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환경문제의 해결에 어려움이 있어 연삭가공은 점차 그의 범위가 좁아지는 현상이다. 그러나 미립자 또는 초미립자에 의한 래핑, 슈퍼피니싱, 호닝 등의 가공기법은 경질재료의 IT부품, 항공기부품이나 반도체 재료의 가공에 그의 사용법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어 앞으로 초미립자 연마제를 사용한 다양한 가공기법과 이에 상응한 가공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 경질 취성재료의 유리연마제 가공기술, ELID연마기술, 전자재료의 초정밀 가공기술은 다양한 연마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술로 앞으로 연삭보다는 연마제에 의한 가공기술발전이 보다 활발해질 것으로 예견된다.
- 저자
- Mkai ryohei ; Matusda hunichi; Omori sei; Yoshihiro ueha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198)
- 잡지명
- The tribology(N26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6~53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