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당사국총회(COP9)와 지구온난화 대책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의 파급 효과
○ 자연생태계의 변화는 물론 사회·경제적인 차원에서 농업, 축산 및 산업 활동 전반과 인간의 보건, 주거환경 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원천적으로 온실가스의 배출을 억제하고 산림의 흡수원을 확대함으로써 대기 중 온실가스의 축적을 최대한 제한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 국제적 지구온난화의 대처
○ 지구온난화는 전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인간의 공통된 문제이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일방적 노력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며 전 세계의 협조 없이는 의미 있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각국은 자국의 경제발전과 산업경쟁력에 대한 피해를 우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협상과정에서의 첨예한 이해대립을 보여주고 있다. 지구온난화는 지구상의 에너지자원과 직결되며 이에 따라 국제적인 공동대응이 절대적이다.
□ 우리의 대응 노력
○ 우리나라는 1993년 12월 세계 47번째로 기후변화협약에 가입하였으며 현재 개발도상국(non-Annex Ⅰ국가)으로 분류되어 국가보고서 제출 등 협약상의 일반적 의무사항만 수행하면 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1998년 3월 제1차 국가보고서를 제출한 바 있다. 그러나 1994년 OECD가입 이후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은 우리나라가 조속히 자발적으로 선진국과 같은 의무를 부담하여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노력과 국제 사회에 동참하는 자세는 미래 우리 후손들에게 자연을 사랑하고 가꾸며 자원과 에너지절약을 실천하여 환경을 생각하게 하는 기본 윤리를 심어 주는 데 좋은 역할을 할 것이다.
- 저자
- Kiyoyuki MINA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26(1)
- 잡지명
- 자동차연구(L06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1~29
- 분석자
- 이*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