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설계자를 위한 쾌적음 설계의 추진과 방법
- 전문가 제언
-
□ 비정상음에 대한 쾌적음 설계를 하기 위하여 카메라 작동음은 정숙성이 요구되는 환경으로 가지 않으면 무음으로 갈 것으로 생각된다. 음도 진동도 생기지 않으면 촬영의 확인이 어렵고 고객의 불만을 초래한다. 디지털 카메라는 셔트음과 휴대전화의 착신시 나오는 쾌적음을 부가하는 것이 좋다.
□ 높은 기능의 쾌적음은 부가가치가 높으며 쾌적성이 높고 고급감이 높으며 사용 만족도가 높다. 몸과 마음이 유쾌하고 쾌적하여 기분이 좋은 소리의 쾌적음이 생성된다. 낮은 기능의 소음은 부가가치가 낮으며, 쾌적성이 낮고 고급감이 떨어지며 사용 만족도가 낮다. 따라서 저소음 설계 개념에서 새로운 동작음을 디자인하는 쾌적음 설계가 필요하다.
□ 쾌적음 설계를 하기 위하여 차폐효과는 두음의 진동수의 차이이며 강도가 크게 다를 때 약한 음이 들리지 않는 현상으로 어느 음의 존재로 인하여 다른 음의 최소 가청값이 상승하거나 음의 크기가 작게 느껴지거나 하는 현상으로 추진 방향은 각 음질원이 내는 주파수의 추정이며 음질 평가의 기준은 쾌적음과 음감이 좋은 목표 음질을 설정하여 구체적인 구조로 차폐효과를 고려한 쾌적음 설계가 필요하다.
□ 쾌적음 설계를 하기 위해서는 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내부 공간의 공명현상과 외부 방사음을 음향 유한요소 해석, 구조와 유체 음향 연성 해석, 유한요소 모델의 작성과 구조물의 동 특성을 파악하는 구조 로 유한요소 해석에 따라 실 가동음 및 진동의 파악과 다점 동시 입력이 가능한 계측 및 데이터 처리 장치로 실험 모더 해석, 음압과 주파수 특성을 변경하여 재생시킨 음질 평가와 심리 음향평가 척도를 산출하는 음향 해석 장치로 유체 음향 연성 해석, 모터 밀도가 높고 중고주파수 대역의 통계적 에너지 해석 등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쾌적음 설계를 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 저자
- DOI TAKE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8(2)
- 잡지명
- 기계설계(A05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6~45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