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돌표면 토포그래피 측정법
- 전문가 제언
-
□ 연삭가공은 매우 단단한 숫돌입자를 사용하여 그의 예리한 모서리의 각을 날로 사용하여 절삭하는 가공으로, 고정입자와 유리입자(遊離粒子)가공으로 분류하며, 고정입자에 의한 가공은 숫돌바퀴(grinding wheel), 숫돌 또는 입자를 한 면에 접착한 연마포(buffing)에 의한 가공이고, 유리입자 가공은 숫돌입자를 고정하지 않고, 입자그대로의 상태 또는 알맞은 별도의 액체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가공으로 미립자 가공이라고도 한다.
□ 미립자 가공은 전자부품, 항공우주 부품이나 초경질 재료 등의 다듬질 가공 면을 경면으로 요하는 나노미터 단위의 가공에 이용되며, 가공방법으로는 랩핑, 슈퍼피니싱, 호닝, 전해연마 등의 가공법이 있으며, 그의 사용범위는 점차 확대되어 질 것으로 예견된다.
□ 그러나 고정입자의 숫돌에 의한 연삭가공은 가공공정이 번잡하고 환경(건식 또는 준 건식가공)에의 대응이 어려울 뿐 아니라 초경질 재료의 절삭가공용 1회용 바이트 팁(throwaway tip)의 개발에 의한 절삭 가공의 연삭가공에의 대체가능으로 연삭가공은 점차 그의 사용범위가 좁아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 하지만 자동차 엔진용 크랭크샤프트의 캠 축 연삭 가공과 같은 특수한 분야에서의 용도는 다양하므로, 가공기술의 개발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따라서 연삭가공기술개발을 위한 연삭기 및 연삭숫돌의 성능개선이 필요하다. 연삭숫돌의 성능개선을 위 하여는 절삭 날을 형성하는 입자들의 형세(topography)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다.
□ 연삭숫돌 절삭 날인 입자구성 형세를 파악하기 위하여 간접법인 절삭 펄스 법 및 레저 블레이드 법, 클러스터 법 등을 이용 실험하고 이의 결과를 이론해석 치와 비교 검증하여 이론해석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삭숫돌의 절삭 날 입자구성 형세에 대한 상세한 정보입수가 용이 해져 연삭숫돌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견된다.
- 저자
- Seiki Matsu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56(2)
- 잡지명
- 기계연구(A06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67~276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