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실용화를 지향하는 구조건전성 진단기술

전문가 제언
□ 구조건전성 진단기술로서는 시스템분석과 신경망이용, 초음파탐상 등의 종래의 많은 기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판정방식이 거론되고 있으며 통계적 판정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현실적으로 액량계(液量計)와 회전계(回轉計), 변형게이지(strain gage) 등의 여러 종류의 종래의 센서를 다수설치하는 것도 고려되고 있으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여기에 종래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인터넷을 효율적으로 접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을 축적하는 것이 향후의 과제이다.

□ 구조건전성을 진단하는 시스템은 특별한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낮은 비용으로서 고정밀도로 결함을 검출할 수 있어야 사용자가 선정할 수 있다. 어떠한 이익을 기업에 갖다 줄 수 있는지를 시스템 선정에 앞서 고찰하여야 한다.

□ 가동 중인 많은 진단시스템에서는 센서의 출력값이 한도를 넘으면 실제로 구조결함인지 잡음(noise)에 의한 것인지 판단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통계적 판정방법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많은 데이터의 축적이 판단기술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실측의 데이터를 많이 확보하여야 한다.

□ 지금까지 구조건전성 진단에서 고정도의 광섬유센서가 주로 적용되고 있고 향후에도 이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진단목적을 감안하여 경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이익을 줄 수 있는 IT기술을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이다.
저자
Akira Todorok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56(2)
잡지명
기계연구(A06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27~235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