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력 응용기기에서의 고신뢰도화 기술 비상안전 장치의 기본과 응용 확대
- 전문가 제언
-
□ 본고는 전동력 응용기기의 고신뢰도화 하는 기술로서 비상안전 장치(Failsafe)기술이 있지만 현대사회 실정에서 고도의 신뢰성을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무정지 연속운전(Fault tolerant)을 기초로 하는 다중화 시스템(Redundant system)의 적용 예와 그 신뢰성 평가를, 리니어모터에 의한 철도차량의 승강문의 다중화 시스템의 실용 예를 통하여 소개와 비상안전 장치의 문제점, 가동률 향상을 위한 수법, 다중 시스템의 기본 원리와 적용 예, 전차 승강문의 다중화 시스템의 예와 그 신뢰성 평가 기술, 고도 신뢰성 실현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 특히 비상안전 장치의 문제점에서 기능정지에 의한 안전성 확보는 가동률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들고 있으며 최근에는 연속운전을 주목적으로 가동률이나 평균 고장간격(MTBF), 10억 시간에 고장 건수(FIT)를 지표로 하여 비용 대 효과(Cost Efficiency)면에서 기기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연구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향후는 고신뢰성의 실현 수단으로서 IT기술, 제어기술을 응용한 보다 고도의 무정지 연속운전화가 진행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 시스템 설계나 제품제조 공정에서 고신뢰도화 기술의 실현은 우선 FEMA(고장모드 영향 해석)을 기본으로 하지만 현실적으로 Cost Efficiency측면을 간과할 수는 없다.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전재로 가동률의 향상 즉 Fault tolerant 성능확보를 하기 위한 기술개발 및 연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Fault tolerant를 통한 제품개발의 우위가 고신뢰도화를 통한 세계시장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저자
- OZAKI Sator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271)
- 잡지명
- 작업선(N42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3~18
- 분석자
- 문*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