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재료용 탄탈륨 및 니오븀 분말제조기술(Production Technologies of Tantalum and Niobium Powder for Electronic Material)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에서 탄탈륨 분말 수입은 1999년도에도 약 28톤으로 금액 기준 약 1천만 불 정도이며, 2001년도 국내 공급 후 칩 탄탈륨 콘덴서 수출은 23억7천만 불로 연간 성장률은 약 11%라는 고성장을 기록하였음. 이는 국내전자부품 및 IT 산업의 고성장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왔음. 또한 전자기기의 고용량화와 고성능화로 인한 고성능의 콘덴서요구가 필연적이어서 새로운 기술로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야 하며, 탄탈륨시장 상황 변동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우리나라의 수출주도형 전자기기산업은 성장․발전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됨. 이러한 관점에서 탄탈륨을 대신하는 새로운 콘덴서 소재 개발도 연구되어 상용화 기술이 보급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데 본 논문이 좋은 예임.
□ 니오븀은 탄탈륨에 비하면 가장 풍부한 원료의 하나로 앞으로 브라질에 있는 광산만으로도 500년은 공급할 수 있고 탄탈륨보다 5배나 많아서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가격도 탄탈보다 염가이고 고성능화도 가능하다는 이점은 있으나 아직까지 확실한 검증되지 않았다는 기술이고, 탄탈륨 콘덴서보다 low-ESR면에서 성능이 미흡하고, 높은 직류 누설로 인한 불안정, 및 높은 온도에 부적절하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러한 단점들이 개선되어야 할 기술임.
□ 향후 앞에서 지적한 단점들이 현재 부분적으로 개선되어지고 있고 앞으로는 점차적으로 개선되어질 것으로 기대하면서 무엇보다 니오븀 금속은 탄탈륨 금속에 비하여 밀도가 절반이기 때문에 같은 CV (capacitor/voltage)에서 전하는 2.5배나 되고, CV는 대략 1.26배임으로 탄탈륨 콘덴서 대체 재료로 각광을 받을 것이 확실시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적실하고 긴급히 요망됨.
- 저자
- Toru H. Okab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3(1)
- 잡지명
- Bulletin of the Japan institute of metals(N1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4~42
- 분석자
- 임*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