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 조화형 축열식 버너의 장래전망

전문가 제언
□ 탁월한 기술을 다른 연소기기에도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아져, 1999년부터 고온 공기 연소제어 기술개발 프로젝트가 실시되었다. 연구개발 대상으로서는 (1)미분탄(微粉炭)보일러, (2)폐기물연소로(燃燒爐), (3)고온화학 반응로가 선택되었다. 이들에 대해 고온 공기 연소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응용에서는 고유의 문제점 해결에 착수하게 되었다. 그 중에도 (2)의 폐기물 연소로의 적용문제에서는, 고온 공기를 최적상태로 첨가하는 것으로서, 종래 공기비(比) 1.7레벨에서 1.2~1.3레벨로 내린 저공기비(低空氣比) 연소와 배기가스무해화가 동시에 달성되어 에너지 절약 30% 이상, NOx 저감 30% 이상을 달성하고 있다.

□ 거듭된 에너지절약과 환경대책을 동시에 개선하는 기술로서 개발된 환경 조화(調和)형 축열식 버너의 특징과 적용례를 개요 했다. 이 기술은 일본 파네스공업(주)이 개발한 기술로서, 가열로의 한계(限界) 열 회수와 저 NOx화라는 지금까지의 기술에서는 이율배반이라고 생각되고 있었던 문제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동시 해결한 것인데, 일본의 NEDO(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의 보조로 실시된 국가프로젝트 고성능 공업로(工業爐) 등의 기술개발(1993~2000년)에서, 보급성이 높은 기반 기술로서 이 기술이 채용된 것이라고 본다.

□ 여러 실시 예에서 에너지 절감은 달성되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NOx 농도를 내리는 목적에서 배기가스 재순환 방식을 추가 하거나, 배기가스 탈질소산화물 설비를 추가한 것을 볼 수가 있는데, 적용 대상에 따라서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더욱이 전환 밸브의 내구성의 확립이나 축열체의 보수기준의 확립도 금후의 과제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 기술이 더 보급되기 위해서는 이들 과제의 해결이 필수적이다.

□ 현재 NEDO에 의한 데이터의 축적과 분석이 진행되고 있는 필드테스트 사업의 성과가 공표되면, 이들 과제에 대한 업계의 대책이 명백해지고, 축열식 버너의 보급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Y. Suzuk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41(1)
잡지명
공업가열(D275)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9~63
분석자
김*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