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HRS 버너 기술의 진전과 공업용 가열로에의 응용

전문가 제언
□ 산업용 버너는 80년대 공업로 건설과 함께 우리나라 경제 성장 시대를 함께한 분야로서, 그간 상당한 국산화가 이루어져서 중소형 버너는 거의 국산화 되어 있고 다만 중대형 버너는 아직 수입을 선호하는 추세로 국산화가 미흡한 상황이다.

□ 버너는 인젝터 설계, 연소용 공기량 제어 및 혼합 기술, 배기가스 제어 및 노 내 분위기 제어 기술 등이 복합되어 그만큼 종류도 다양하고 용도도 특수 용도까지 수요가 넓다. 다행히도 저NOX 연소 시스템 기술 관련 정부와 업계가 저공해 버너 개발에 힘쓴 결과 많은 성과가 나오고 있고, 특히 최근엔 세라믹 복사 버너가 정부의 에너지 절약 기술 개발 과제 선정에 힘입어 개발 완료되어 알루미늄 용해로 및 요업공장용으로 설치될 예정으로 기술적 완성도가 높아 고무적이다.

□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버너 업계는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하여 저가 출혈 경쟁에 의한 도산이 이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전문 인력의 이직이 아직도 심각한 상황이다. 물론 경쟁 원리에 입각한 도태는 불가피 하겠지만, 좀더 대기업에서 자본과 기술을 바탕으로 아직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발전용이나 특수 용도의 버너를 국산화 한다면, 전 세계 저 개발 국가 대상으로 플랜트수출 산업의 형태로 가능성도 많다고 여겨진다.
저자
J. Sudo ; T. Haseg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41(1)
잡지명
공업가열(D275)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3~39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