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 부품소재 용접의 자동화경위와 용접가공 시스템 동향(Trend of Welding in Japan : Trend of Welding Process System for Bridge Works and its Automation)
- 전문가 제언
-
□ 최근의 교량은 건설비용을 삭감하기 위해 공수(man hour)를 대폭 줄이는 한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판의 두께가 두꺼워져 용접하기가 어려워졌다.
□ Kobe 제강소와 Nagabishi Engineering은 고속도로의 교량용접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고속도로 전용 로봇용접 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하였는데, Kobe 제강소의 용접장치와 Nagabishi Engineering의 용접로봇을 조합하여 시스템화한 것이다.
□ 3차원 레이저용접 및 시스템기술은 기존의 레이저용접이 가지고 있는 구조물의 크기 및 형상의 제한, 비선형 용접의 어려움, 생산 조립공정 적용의 어려움 등 기술적인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차세대 첨단 레이저 용접기술이다.
□ 중장기적으로는 자동차, 기계, 조선, 전기, 전자 등 국가기간산업 및 첨단 부품산업에 필수적인 핵심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과 에너지관련 기술, 항공 및 국방산업 등의 분야까지도 폭넓게 적 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 레이저 가공의 다양한 적용분야를 고려하여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매우 많은 설계 요인들이 존재하게 된다. 높은 유연성을 가지는 가공기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싼데,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제성과 효용성을 절충하는 표준화모델 구성이 필요하다.
□ 빔 교환장치의 설치로 다목적 가공기와 용접 가공기에서의 작업 전환을 시간소비 없이 가능토록 하며 다목적 가공기의 설계에 있어서도 절단, 열처리, 마킹, 용접 등이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저자
- Takao Narumiya ; Takanori Murakam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2(1)
- 잡지명
- 용접기술(A1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88~92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