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전기분야의 신용접법 적용(Trend of Welding in Japan : Application of New Welding Processes to Power Plamts)
- 전문가 제언
-
□ 원자력 발전을 포함한 중전기 분야에서 용접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며 특히 원전설비의 안전성 확보와 수명연장에 맞추어 미국, 유럽과 일본에서 용접기술의 고급화를 위한 핵심장비와 프로그램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앞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원전설비 제작과 보수용접 기술 분야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용접기술에 대한 국내의 연구개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건설지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오랜 경년화에 대한 예방보전과 부분교체공사, 보수용접작업이 증가하게 된다. 여기에 대응하여 방사능에 피폭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격자동용접기의 고기능화 내지는 전자동화기술이 발달할 것이며 특히 조사재의 보수용접에 대응하여 협소하고 복잡한 부위에서 고정도제어구동 로봇에 탑재하여 센싱 및 용접적응제어기술을 동반한 레이저 빔 용접, 플라즈마 아크 용접, TIG 용접 등의 수중 저입열 용접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질 것으로 보인다.
□ 원자력분야의 용접은 원전설비 용접부의 신뢰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하여 기술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동시에 숙련용접사의 고령화와 젊은 작업자의 감소 및 기피대상 작업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센서를 이용한 화상처리에 의한 용접부 제어, 용접부를 자동 품질 보증하는 ‘전자동용접’으로 개선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점에서 본고에서 소개한 수동용접공정으로 행하는 용접시공에 대한 감시 시스템과 용접사를 지원하는 시스템과 TIG 용접 거동의 계측시스템은 유익한 자료로 판단된다.
- 저자
- Mitsuaki Hane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2(1)
- 잡지명
- 용접기술(A1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3~97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