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차체용 아크용접기 개발(The Challange to Develop the Optimum Welder for Automotive Body Assembly Production)

전문가 제언
□ 아크용접에는 일반적으로 용접봉이 소비되는 소모성 전극을 이용하지만, 텅스텐과 같이 비소모성 전극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아크용접법은 Gas Metal Arc Welding으로 MIG/MAG라고도 흔히 불리며, 용접전극재료로서 Flux Cored Wire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Flux Cored Arc Welding 이라고 부른다. 승용차의 경우 차체조립 시 저항점용접을 하기 어려운 간섭부위나 폐구간 부위에 적용되고 있으며, 비교적 두꺼운 강재가 쓰이는 세시 부품, 배기계 부품의 조립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 일반적으로 차체의 용접자동화는 용접 기술, 전력변환 기술, 모터제어 기술, 로봇 인터페이스 기술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종합해야 하는 작업이다. 작업환경 개선, 용접 품질 향상, 생산성 증대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자동차나 철차와 같은 대규모 자동용접라인에서는 앞으로 공기압축 총을 대체하는 새로운 기술이 대세를 이룰 것이다.

□ 많은 산업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아크용접은 앞으로 생산성 및 용접품질 향상을 위해 로봇의 활용이 증가할 것이며 신 용접 프로세스 개발에 많은 노력이 집중될 전망이다.

□ 국내 용접기 시장은 경기에 따라 유동성이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1000억 내외로 보고 있다. 아크 용접기 쪽은 600~700억 정도 생산 판매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국내 용접업체 중 100여개 이상의 용접기 생산업체가 영세업체로서 난립되어 있고 제대로 체계를 갖춘 기업들은 극히 일부분에 해당된다.

□ 국내 용접기술수준으로 볼 때 범용성은 경쟁력이 있고 기술력도 뛰어나지만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분야는 기술투자가 낙후되어 있다. 즉 우리나라 용접산업은 기술적 한계와 기술투자비 및 시장 투입에까지 생기는 비용의 부담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조선, 철강, 건설, IT산업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용접관련 기술수준과 설비투자가 너무 낙후되어 있어 범국가적인 지원과 기술정책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다.
저자
Koushi Mukumoto ; Takashi Shinmyou ; Toyohide Maeda ; Tatsuki Masachik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2(2)
잡지명
용접기술(A114)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94~98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