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 Transitor재료특성의 소자구조의존성(SPECIAL EDITION) Device Structure Dependency of the Organic Transistor Performance

전문가 제언
□ 반도체가 발견된 지난 세기에는 고체 실리콘 반도체와 게르마늄 반도체 그리고 무기화합물 반도체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유기화합물에도 반도체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속속 발견되고 있고, 앞으로는 유기박막반도체가 무기반도체의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예견된다.

□ 성능이 좋은 유기 Transistor를 얻는 데는 그 활성 층을 구성하는 유기반도체 박막의 품질제어를 위한 기술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결정성을 나타내는 유기재료는 기본적으로 이방성을 가져야 함으로, 성능 발현에 있어서도 이방성이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은 재료의 이방성 평가와 그 소자구성 의존성을 강조하고, 앞으로 개발하는데 있어서도 이 점을 염두에 두고 개발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유기반도체의 소자구조 의존성에 관한 예들을 소개하고 있다.

□ 유기반도체의 재료로 쓸만한 유기화합물은 그 물성과 구조가 이미 상당한 분량으로 알려져 있다. 새로운 물성을 가지는 유기물을 합성하는 것 보다, 이미 합성된 재료를 이용해서 조립설계를 달리 함으로서 소재의 고유한 물성을 능가하는 성능을 찾아내는 연구개발은 매우 바람직한 연구의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 유기반도체는 제조방법이 간편하고 제품에 유연성이 풍부하며, 제품제조 시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멀지 않는 장래에 전자제품에 유기반도체가 무기반도체를 전량 대치하게 될 것이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원자내지는 분자두께의 범위에서 전자의 이동을 다루기 때문에 약간의 충격에 의하여 격자단위의 파손으로 인해서 제품의 수명을 오래 보존하지 못하는데 있을 것이다.
저자
Toshihide Kamata ; Manabu Yoshi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24(3)
잡지명
기능재료(D32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6~25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