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에서 대두, 이소플라본과 유방암 발생 위험비율과의 관계(Soy, Isoflavones and Breast Cancer Risk in Japan)

전문가 제언
□ 된장의 기능성으로서, 콜레스테롤 감소, 항종양, 항돌연변이, 항산화작용 등이 알려지고 있다. 1981년 일본 학자에 의해 실시된 된장국의 섭취빈도와 위암 발생률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된장국이 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발표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된장의 기능성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본 보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최근 일본에서 실시된 적극적 역학연구인 다목적 코호트 연구에서도 「된장국」과 「이소플라본」섭취가 유방암의 발생의 상대적 위험비를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대두, 두부, 유부, 납두」와 같은 대두 제품 섭취와는 위험비의 감소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 그런데 유방암의 위험비 감소가 대두 함유성분인「이소플라본」에 의해 매개된다면, 왜 된장국은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다른 대두제품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지?」에 대해서는 그 이유가 확실히 제시되지 않고 있다. 금후 검토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 한편 된장국을 많이 먹을수록 유방암 위험비는 감소(예: 유방암 상대 위험비: 1일 1잔 이하: 1.0, 1일 3잔 이상: 0.6)되는 것으로 보이나 염분섭취라는 면에서 된장국만의 지나친 섭취를 지양하고 타 대두제품과 균형 있게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그러나 이번의 코호트 연구에서도 대상 인구집단의 소규모, 유방암환자의 발생이 적었다는 점,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의 정확한 측정 문제 등 연구방법에 있어 역시 한계가 내재하고 있어, 향후 보다 확실한 증거제시를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대규모적인 역학조사 또는 임상시험 이 요망되고 있으며, 최근 미국에서도 대두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에서도 이소플라본의 임상실험으로 전립선암과 유방암의 치료연구가 각각 2개 씩, 만성신부전, 우울병, 기억력 저하, 골(骨)반응을 조사하는 연구가 각각 1개씩 수행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향후 그 결과가 기대되고 있다.
저자
Seiichiro YAM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99(2)
잡지명
일본양조협회지(C076)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00~105
분석자
남*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