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계면활성제 및 세제공업에 대한 기술적 발전
- 전문가 제언
-
□ 중국의 계면활성제와 세제공업에 대한 기술발전은 등소평의 실용적 사고방식 표현인 ‘흑묘백묘론’ 이후 급속한 기술의 개선과 개량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연간 성장률이 7.85%라는 국가경제의 경이적인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본다. 이러한 성장요인 중에는 산업구조의 조정, 설비 수준의 질적 및 양적인 향상, 주요제품에 대한 큰 생산능력 확충 및 관건이 되는 기술문제에 대하여서는 기술혁신·개발로 대체하는 한편 선진화된 기술도입도 적극적으로 수입하여 추진한 결과이다. 이러한 경향은 우리나라도 과거에 경험했던 경제개발 발전단계의 한 절차이기도 한다. 그러나 한 가지 차이는 우리나라가 국내수요의 한계로 인한 최적 다량생산규모의 설비를 1기라도 건설하려면 수출수요를 고려하여야 하고, 경제적 타당성도 검토 등, 여러 제약 요인들을 제삼 점검하여야 하는데 반하여, 중국에서는 어느 정도의 기술의 고도화 및 원료의 조달 등의 문제가 없다면 시장성에는 개의치 않고 대량생산 설비를 5 ~6 개 이상씩 건설한다는 것이다. 이는 처음 몇 년간은 단일 품종에 대하여서는 원가가 저렴하겠지만 현대사회의 다품종 소량생산에 의한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 요구에 걸맞지 않고, 융통성이 없어 얼마 안가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중국은 아직은 삶의 다양성 및 산업적으로 매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제품은 개발단계에 지나지 않고 있다. 현대에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그 방식의 다양성 및 환경문제의 심각성 등으로 인한 계면활성제의 연구개발이 점차적으로 생분해성, 인체와 환경의 안정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계면활성제, 그리고 분산력, 강한 침투력, 유화력 등 고기능성에 집중되는 제품의 개발이 적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도 참고가 됨직도 하는 다음과 같은 향후 신규 계면활성제의 개발이 적실히 요구된다.
○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제미니형, 및 화학적 생분해성 계면활성제-
○ 고기능, 다기능성, 및 고순도성 계면활성제-
○ 자기회합성이 우수한 계면활성제-
○ 생분해성, 및 안정성이 계면활성제-
- 저자
- Li Qiuxiao ; Zhang Gaoyong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57(2)
- 잡지명
- 유지(A04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8~43
- 분석자
- 임*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