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에서의 식이섬유소재의 개발동향(Trends in the Market for Dietry Fibers)

전문가 제언
□ 국민소득의 증가와 식생활 패턴의 서구화로 문화병으로 일컬어지는 당뇨, 심장질환, 고혈압, 비만 등이 청/장년층은 물론 소년층으로 확대되고 있어 국민건강에 큰 경종을 울리고 있다. 서구에 만연한 이러한 현상은 이미 우리나라에도 흔한 현상이 되었다.

□ 문화병의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육류섭취 증가에 따른 식이섬유의 부족에 기인한다는 것이 영양학자들의 일치된 견해이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식이섬유를 건강식품 보조제로 허가한 바 있고, 업계에서도 수십년전부터 음료․면류․건강식품 등에 식이섬유를 첨가한 제품을 출시해 왔으나, 한국인의 식이섬유 섭취량은 하루 평균 15g으로 전문가들의 권장량인 35g(일본은 20~25g)에 훨씬 미달한다.

□ 일본업계의 개발 사례에서 보듯이, 빵 한 개를 먹으면 하루 필요량의 식이섬유가 섭취될 수 있는 식/음료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문제는 제조원가의 경쟁력이 있어야 하므로, 다양한 식이섬유 소재의 개발로 원가절감을 이루어야 한다.

□ 국내조달이 가능한 식이섬유 소재로서는 해조류와 섬유소가 있다. 특히 미역, 다시마, 파래,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등의 해조류는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 거의 무궁무진한 자원이다. 이러한 소재에서 식이섬유를 효율적으로 추출, 가공하는 공정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또 다른 방법은 발효에 의한 대량생산이다. 예컨대 수년 전에 한 바이오벤처(대표: 양영학)가 발효법으로 성공한 발효셀룰로우스의 대량생산은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서구식의 “병주고 약주는“(eating & therapeutic) 식생활 패턴을 하루 속히 ”예방의학적“(preventive medication)으로 바꾸기 위한 핵심조처는 식이섬유의 섭취를 늘리는 데서 출발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저자
Editorial Department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39(2)
잡지명
식품과 개발(M105)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9~55
분석자
임*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