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류의 생산관리 솔루션과 트레이서빌러티 시스템(The Solution for Production Control and Traceability System)
- 전문가 제언
-
□ Traceability의 본래의 목적은 생산이력, 원료수송·관리이력, 가공이력, 제품수송이력, 진열이력 이라고 하는 생산, 처리, 가공, 유통·판매의 식품체인의 각 단계에서 식품과 그 정보를 추적하여 소급하는 것이다.
□ 이것은 식품마다의 안전정보를 확인 하기위한 과정의 하나에 지나지 않고, 이것에 의해 식품의 안전성을 담보하는 것은 되지 않는다. 소비자가 현재 요구하고 있는 것은 사고발생 후의 원인구명이나 신속한 회수에 큰 관심이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소비자들의 주된 관심은 불량품의 발생을 미연에 막는 제조공정 및 품질관리의 철저한 확인과 차후 공정이나 시장에의 불량품 유출을 예방하는 검사 및 유통관리에 있다.
□ 많은 식품 제조업자도 Traceability의 필요성으로서 인식하고 있는 로트추적(lot trace)에 의한 제조이력을 찾아낸다고 하는 것이나, 그 자체는 안전성확보에 관련되는 것이 아니므로 Traceability보다도 공정 및 품질관리와 유통관리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상의 관리 체계가 바르게 지켜지는 시스템이 확립되어 있으면 Traceability를 구축하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다. 결국, 불량품을 만들지 않는 공정 및 불량품이 유통되지 않도록 하는 검사관리에 있다.
□ 외국의 Traceability시스템 및 식품공장의 품질관리와 생산성·수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생산관리 솔루션(solution)을 살펴보면, 각 국의 식품안전을 위한 정책과 기술개발은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행정관리측면에서는 영국을 선두로 EU국가와 일본 등에서는 식품안전관리를 국가최고 책임자 직속기관으로 설립 관리하고 있으며, Traceability시스템의 실질적인 관리를 위하여 첨단 IT산업기술과 연계 제휴하여 원료관리, 제조가공 공정관리, 제고관리, 유통관리, 품질관리 및 관련 행정과 인사관리를, 통합관리를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보급 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소비자들의 요구와 관련기관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나, 행정시스템의 개선과 관리 소프트외어의 개발이 이루어져야하는 것이 Traceability의 궁극적안 목적을 성취시키는 길이 될 것이다.
- 저자
- CARABA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39(2)
- 잡지명
- 식품과 개발(M10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3~38
- 분석자
- 박*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