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대두이용과 중국국제대두회의(Progress in Research on Soybean Functions and Application in Processing : Utilization of Soybeans in China and "International Soybean Conference in China")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는 동북아시아권에서 오곡 중심의 식생활을 이어 오면서 오늘에 이르렀으며 이들 오곡 가운데서도 농업구조면에서나 식량수급측면에서 두류가 차지하여 온 비중은 큰 것이다. 또한 음식문화중 콩이 차지하였던 것은 전래의 발효식품으로서 장류는 물론이고 콩밥, 콩나물, 콩가루를 비롯하여 두부, 콩국, 비지, 콩기름 등 콩문화가 차지하고 있었던 우리나라 음식문화의 배경은 자못 적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중국의 경우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전통 대두제품은 영양이 있고 맛있고 값싼 식품으로서 중국인에게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식품이며 중국 식문화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도 중국과 같이 콩 종주국의 한 나라라는 자부심과 더불어 20세기 초부터 콩에 대한 수집과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현재 그 수준은 계속적인 향상을 이루고 있다. 아울러 팥, 녹두 등 기타 두과작물도 유전자원의 수집 보존과 평가가 이루어짐으로써 우량품종육성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국제대두회의에서도 13개 분과위원회가 구성되어 콩에 관한 생산, 육종, 농업생물기술, 대두의 가공과 응용, 대두식품 등의 전 분야에 걸친 연구 발표가 있었는 바, 이 회의에서 대두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되었다.

□ 종래의 두류재배와 육종은 다수성과 외관상의 품질에만 중점을 두었고 용도면에서는 콩의 경우 두부, 장류 및 나물콩에 한정되었을 뿐 품질 고급화 및 용도의 다양화를 위한 성분조성면은 별로 실시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외관적인 품질도 용도별로 다양하게 검토되기 시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성분 및 가공적성의 품질특성에 대한 유전양식도 밝혀져 가고 있으며 단백질 및 아미노산 조성 등 성분육종의 효율화를 위하여 많은 성분측정법이 개발 실용화되고 있다. 이 밖에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및 식미와 같은 품질 개선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에 따른 가공적성이 높은 품종의 육성개발 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고 각 용도별 특성에 따라 품질의 표준화가 설정되어야 하고 생산자는 소비자의 선호도에 맞는 고품질의 두류작물을 생산 공급할 때 두류의 소비량 증대는 물론 재배면적도 확대될 것이다.
저자
T. ISHITAN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7(2)
잡지명
식품공업(A034)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3~48
분석자
최*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