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인류의 생존을 담당할 식량, 대두(Progress in Research on Soybean Functions and Application in Processing)
- 전문가 제언
-
□ 대두는 영양학적으로 가장 값싼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 원이고, 더욱이 최근 연구를 통해 대두에 대한 건강증진 효능이 밝혀짐에 따라 건강 지향적 세계적 식품/식량으로서 그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 대두단백질의 기능성으로는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에 의한 동맥경화증의 예방 효과와 이소플라본의 골다공증 예방과 유방암 예방효과 등이 보고됨에 따라 대두식품을 거의 먹지 않았던 구미에서도 점차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 그러나, 최근 대두의 기능성에 대한 다소 비판적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대두의 건강기능성 입증을 위한 역학적/임상적 연구의 확충이 요망되고 있다.
□ 한편 대두의 세계적 생산은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이 세계총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유전자조작 대두(GMO)가 주로 생산되고 있어 GMO 대두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정도와 관련해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 미국의 경우 재배되는 콩의 75% 정도가 GMO이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에서도 GMO 콩 재배가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 수입콩에 의존하는 일본에서는 대두식품의 원료로는 대부분 자국산의 GMO가 아닌 콩을 사용하며, 법으로 GMO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한해 1백만 톤 이상의 콩을 수입하고 있으며, 소비들의 GMO에 대한 거부 반응이 잠재하고 있어 국산 콩을 선호하고 있으므로 GMO와 차별화하기 위한 생산단계에서부터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의 각 단계별 관리체계의 철저한 법적 준수가 요망되고 있다.
□ 아울러 일본은 콩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연구와 가공 이용 면에서 가장 선진화된 기술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기술 동향과 기술정보는 우리나라의 대두식품 산업 기술발전에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M. TA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7(2)
- 잡지명
- 식품공업(A0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5~29
- 분석자
- 남*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