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의 생리활성성분과 기능성(Progress in Research on Soybean Functions and Application in Processing : Great Expecta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Soybeans)
- 전문가 제언
-
□ 대두의 영양조성은 오히려 육류에 가까우며 그 속의 단백질의 품질 또한 우수해 체내에서 많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구 보고되고 있으며 단백질 외에도 콜레스테롤을 낮추게 하는 레시틴이란 인지질이 함유돼 있다. "소야레시틴"이라는 일반 레시틴과 구분하는 콩 레시틴은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의 원료로 사용될 정도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양질의 단백질과 인체의 세포구성요소로서 없어서는 안 되는 레시틴을 많이 함유한 콩은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뇌졸중을 막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 콩의 생리활성을 보면 비만체질개선, 뇌졸중 예방, 노화방지, 치매증 예방, 대장암 및 변비 예방, 피부미용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콩에 함유된 saponin성분은 비만체질을 개선하는 기능이 있음이 밝혀졌고, 콩 단백질은 뇌의 동맥경화를 막아 뇌졸증울 예방하는 기능과 변통을 원활하게 해 대장암을 예방하는 기능이 있음이 보고되었고, 콩의 레시틴은 노화를 방지할 뿐 아니라 뇌를 건강하게 해 치매증을 예방하는 기능이 있음이 밝혀졌다. 콩은 또한 육류나 달걀 대신 양질의 단백질원인데다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비타민E를 콩의 지질성분에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를 아름답게 해 준다. 비타민E는 혈액중의 악성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선한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 혈관벽의 세포중에 직접 들어가서 혈관의 탄력성을 보호해 준다. 또한 혈액의 점도를 낮추고 만일 혈관이 좁고 딱딱해 졌더라도 혈액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최근 콩 영양보조식품을 섭취하면 여성들이 유방암에 걸릴 위험률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는 연구보고가 발표되었으며, 이번 연구는 콩 이소플라본이 생체내의 에스트로겐 치를 낮춘다는 것을 증명했기 때문에 유방암 발병위험을 줄인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미국 암학회는 콩 이소플라본의 다량섭취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면서도 여성들에게 야채중심 식생활의 일환으로 콩을 섭취하기를 권하고 있다.
□ 이상의 콩의 약리효과에서 보여준 것과 같이 최근 대두성분의 인체에 미치는 생리활성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 이들 콩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개발에도 역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M. SUG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7(2)
- 잡지명
- 식품공업(A0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0~24
- 분석자
- 최*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