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을 강화시킨 새로운 대두품종의 개발과 그 현상(Progress in Research on Soybean Functions and Application in Processing : Present Situation and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bean Varieties in Japan)
- 전문가 제언
-
□ 두류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자의 선호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품질의 고급화와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성분개량, 용도별 가공적성 향상, 외관품질의 개량, 식미 또는 향미의 향상 등으로 두류의 식품재료의 질적인 고급화와 부가가치를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 두부는 두유중 단백질 응고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콩에서 두부로 이행하는 성분은 대부분 단백질과 지질이기 때문에 이것들이 많이 함유된 콩이 두부의 원료로서 우수하다. 따라서 원료콩의 단백질 함량은 두부용 콩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 기능성 성분육종에서 많은 시료에 대한 단백질함량 등 성분조성을 분석하여 가공적성을 신속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근적외분광분석계(NIRS)에 의한 성분측정이 매우 능률적이다. 즉 고단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잡종 초기세대에서 단백질의 함량 및 조성을 검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F2개체 종자 NIRS를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검정 선발한 다음 차세대 육성용의 종자로 사용하는 육종체계의 확립이 바람직하다.
□ 콩 품질의 고급화를 위한 기능성 성분육종의 한 방향으로서 불포화 지방산(리놀산, 리놀렌산)의 산화효소인 lipoxygenase가 없는 콩 품종의 개량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이 성취될 경우
○ 제유과정의 가열처리의 간략화 (콩기름의 고품질화),
○ 두유의 가열처리의 간략화로 고품질화,
○ 두취없는 새로운 두부의 개발 이용,
○ 두취가 없는 새로운 콩 품종이 육성되어 실용화될 것이다.
최근 들어 콩의 약리성분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콩 사포닌이 여러 질병에 예방효과가 있고 콩 불포화 지방산의 하나인 리놀레인산이 뇌 및 신경조직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이외에도 이소플라본 고함유 품종, 알레르겐함량이 적은 품종, 유색 대두품종, 트립신 저해제 결실품종 등을 육성하고 있는 바, 우리나라에서도 콩 유전자원과 다양한 육종방법을 이용하여 상기의 기능성 성분육종분야에 더욱 더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M. HAJI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7(2)
- 잡지명
- 식품공업(A0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6~42
- 분석자
- 최*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