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어레이에 의한 냄새와 맛의 객관적 평가기술과 응용(Objective Evaluation Technique for Odor and Taste by Sensor Array and its Application)
- 전문가 제언
-
□ 식품 및 음료산업에서 관능품질이 차지하는 비중은 제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지금 국내외 기업들이 채택하고 있는 패널검사법으로는 맛의 한계치 검사(taste-detectable test), 여러 종류(맛․농도․선호도)을 단순비교하는 맹검(blind test․double blind test), 두 시료를 집중비교하는 쌍둥이맹검(pairred blind test), 전문패널원의 고정검사(panel test), 고객들에게 시료를 보내어 자택에서 일정기간 시식하면서 하는 재택검사(in house test), 소비고객을 한 장소에서 하는 집단검사(central location test) 등이 있다.
□ 이러한 패널실험은 방대한 시료검사로 패널원의 건강이상을 초래할 수 있고, 시료의 폐기에 의한 환경오염, 시간과 공간의 낭비 및 검사결과의 재현성이 문제이다. 이런 현상은 국내기업 뿐 아니라 부분의 일본기업에서도 동일하였다.
□ 본 논문에서 Yoshida Koichi(Prime Tech. Co. Japan)가 Alpha MOS사의 전자후각․미각시스템으로 실시한 관능평가사례를 참고하여, 국내기업에서도 이 시스템의 도입 여부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 한편 지금까지의 관능검사는 물질(식품․음료, 포장재)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맛은 어릴 때 추억 등을 포함한 정신적인 면도 관여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전재욱교수(서울대)는 맛의 요소를 기호화하여 컴퓨터에 입력하였다. 그리고 여러 계층을 관능적으로 비교 평가하여 계층별 정신적 인자를 계수화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특정집단에 대한 미리 정형화된 제품을 개발한다면 신제품의 개발전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K. YOSHIO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7(2)
- 잡지명
- 식품공업(A0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4~61
- 분석자
- 임*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