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의 기능성 연구의 진전과 가공이용
- 전문가 제언
-
□ 이소플라보노이드의 생물활성은 이소플라본이나 coumestans의 에스트로겐 활성, rotenoids의 살충활성 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phytoalexins, pterocarpans의 항진균작용이 최근 알려졌고, 항균성 이소플라보노이드도 분리되었다. 미생물에서 분리된 여러 종의 이소플라본과 그 배당체가 있다. β-galactosidase 및 catechol-O-methyltransferase, dopadecarboxylase와 같은 효소억제 작용물질도 보고되었다. 대두에 함유된 대표적 이소플라본인 daizein과 그 배당체, 갈근(葛根) 성분인 puerarin 등의 진경작용, 감초(甘草)성분의 이뇨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다.
□ 최근 본 연구팀의 활성성분 연구보고에 의하면 생약에서 천식, 인후염으로 쓰이는 범부채 근경에서 여러 종류의 이소플라보노이드를 분리하였으며 이중 이소플라본인 tectorigenin 및 그 배당체가 강력한 aldose환원효소 억제작용이 있으며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병 쥐의 수정체, 좌골신경, 적혈구의 sorbitol 축적을 억제하며 당뇨합병증 억제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또한 다른 실험에서 PGE2 생성억제, CCl4-intoxicated 래트에서 항산화작용, 소이 이소플라본인 daizein, genistein 과 유사하게 항암작용을 발현하며 그 작용기전을 규명, 보고한 바 있다.
□ 또한 대두과에 속하는 Sophora japonica의 미숙 과일에서 분리한 sophoricoside(이소플라본의 배당체)는 항염증 기전에서 Il-6를 억제하며 COX-2의 선택적 억제물질이며 superoxide 음이온 및 NO생성에 영향이 없어 genistein(대두의 phytoestrogen)과 항염증기전이 다르다고 한다.
□ 이상과 같이 이소플라본을 비롯한 수많은 이소플라보노이드가 그 구조도 다양하고 생물활성도 하나의 성분에서 다양한 활성을 나타낸다는 점을 감안할 때 생체조직세포에 미치는 작용기전이 다양하다는 것을 암시하며 이소플라본이 기능성 성분의 차원에서 고려할 때는 큰 무리가 없겠으나 신약 후보물질의 차원에서 보면 특이성 면에서 더 자세한 심층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천연물 활성연구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현상의 하나이지만 유사한 구조에서 유사한 약물활성이 나타나는 점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도 해결할 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 저자
- H. TSUJINO ; S. TSUS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7(2)
- 잡지명
- 식품공업(A0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0~35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