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페놀을 중심으로 한 파이토케미컬의 기능에 대하여
- 전문가 제언
-
□ 식물성분 중 페놀성 성분은 monomeric을 비롯하여 폴리페놀인 탄닌에 이르기까지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군으로서 구조도 다양하며 활성도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이 예상되는 수많은 비플라보노이드가 1975~1980년에 식물들에서 분리가 시도되어 apigenin과 luteolin moiety를 갖고, C-methylated 비플라보노이드가 분리되었는데 약용으로 쓰이는 biflavone 함유 식물은 비교적 적은 것이 특징이다. 그 활성을 보면spasmolysis, 말초혈관 이완, 항bradykinin, 항경련, PGE1 억제, cyclic GMP 및 cyclic AMP phosphodiesterase 억제작용 등이 구명되었다. 간세포 억제작용은 monomeric 보다는 작용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 식물호르몬 유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소플라보노이드는 구조적으로 플라보노이드와 C15 skeleton이 다르며 대부분 3-phenyl chroman 유도체이며 콩과식물에 많다. Genistein, daidzein, tectorigenin, irisolidone들은 항염증작용과 관련된 PGE2 생성 억제, COX-2 유도 억제작용을 발현하였으며, 특히 tectorigenin에 강력한 aldose reductase 활성 억제, 항암작용과 관련이 있는 혈관신생억제와 Lewis 폐암 고형암 증식억제 작용이 있음을 구명 보고된 바 있으며 신약후보물질로 대두되고 있다. 기타 simple isoflavones와 coumestan의 aestrogenic activity, rotenoid의 살충작용, pterocarpans의 항진균효과, 마늘성분 quercetin의 항돌연변이 및 대장암 억제활성 등이 보고되었다.
□ 소나무 수피에서 분리한 폴리페놀의 하나인 flavanedienol은 oligomeric proanthocyanidin의 일종으로 카테킨의 2량체 및 3량체를 중심으로 한 축합체로서 강력한 항산화 작용, 마이크로좀의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말초순환 개선작용, 혈액 유동성 개선효과, 간기능 개선효과, 운동 시의 근육손상 억제효과 등 여러 가지 생리작용이 관찰되었다. 또한 폴리페놀인 탄닌의 단백질결합력은 수렴작용을 대표하며 지사, 정장작용을 나타낸다. 탄닌 및 그 분해산물은 금속이온, 염기성화합물과 결합하며 유해 중금속 제거와 변이원성물질의 제거, 효소, 바이러스, 요소질소, 지방대사에 영향을 끼치며, 공존물질의 산화억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등이 입증된바 있다. 이와 같이 폴리페놀들의 다양한 활성에도 불구하고 신약개발이 어려운 것은 특이성의 결여가 원인의 하나로 추정되며 이를 극복한 새로운 후보물질 탐색을 위한 연구 추진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Tsushida T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3(1)
- 잡지명
- Japan Food Science(M14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4~39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