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에너지정책을 위한 한국의 경험과 도전
- 전문가 제언
-
□ 한국은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경제규모 및 국민생활수준의 선진화함에 따라 에너지소비는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에너지의 수급불안은 국가경제 및 사회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에너지 수입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에너지정책의 목표였다.
□ 또한 최근에는 지속가능한 지구환경과 관련하여 에너지소비에 따른 이산화탄소 등 온실효과 가스배출을 줄여야 할 국제적 의무가 UN 기후변화협약에 서명함으로서 부담이 되고 있다.
□ 에너지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온실효과 가스배출을 삭감하려면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를 개편하고 수송, 가정, 상업 등 각 부문의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 효율개선 기술이 적극적으로 개발, 적용되어야하며 아울러 대체에너지 및 자연에너지, 신 에너지기술 개발이 병행되어야한다.
□ 환경문제와 원전건설에 따른 경제, 사회적 요구가 상충되는 현실에서 원전건설을 동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 역시 에너지 절약기술의 개발, 보급이다.
□ 에너지관련 평가도구 및 시나리오를 이용한 한국의 장기 에너지전망을 국가 에너지정책 수립에 반영함으로서 에너지에 대한 지속가능한 미래를 담보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 이산화탄소 배출삭감과 직결되는 에너지 소비절약 정책은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이익과 연계되므로 정책의 추진에 국민 참여가 확대되어야 한국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Kim Jung Wk ; Kim J. D. ; J. Byrne ; Y. D. Wang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33(3)
- 잡지명
- 환경과 공해(A40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6~42
- 분석자
- 유*형
- 분석물
-